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물
담수
바닷물
연수
fresh water
d라이브러리
"
민물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크 DNA, 혹시 정말 쓰레기?
과학동아
l
201306
먹는 식충식물인 열대통발기바(Utricularia gibba)의 유전체를 분석했다. 열대통발기바는
민물
습지에 살면서 주머니로 먹이를 잡아먹는 정교하고 복잡한 식물이다.과학자들은 복잡하고 섬세한 생물일수록 정교한 조절이 중요하며, 유전자나 비번역 DNA가 많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열대통발기바의 ... ...
꽁꽁 언 얼음판은 최고의 과학놀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2
그리고 바다에만 사는 멸치와 달리 빙어는 바다뿐 아니라 강이나 호수와 같은
민물
에서도 살 수 있어요.빙어 우리를 빨리 만나고 싶다고? 그렇다면 우리에 대한 정보를 더 알려 주지! 원래 우리가 좋아하는 먹이는 동물성 플랑크톤이야! 그리고 우리 빙어들은 무리를 지어 움직이는 습성이 있지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02
하구에는 둑이 없어 밀물·썰물에 따라 담수와 해수가 자연스럽게 섞이기 때문에
민물
생물과 바다 생물이 함께 살 수 있다”고 설명했다.새는 보지 못하고 새 소리만 들어 잔뜩 약이 오른 관광객을 위한 배려일까. 갈대숲 안쪽에는 조류박물관이 있었다. 물 위에 목재로 지어올리고 지붕에는 갈대를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얘기는 아니라고.가시고기는 동해로 흐르는 강 하류에서 살지만 바다로는 가지 않는
민물
고기야. 몸 옆면에 얼룩무늬가 있고 물벼룩 등 작은 동물을 먹고 산단다. 송어와 비슷한 열목어는 은색으로 몸 길이가 60~70㎝나 되는데 주로 수온이 낮은 산골짜기 시냇물에 살지. 생긴 게 상어랑 비슷해 이름도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11
돈다는 뜻이에요. 바다에서 밀려 강 쪽으로 올라가는 바닷물과 상류에서 밀려내려오는
민물
이 만나 서로 부딪혀 도는 곳이거든요. 그런데 늘 그런 건 아니에요. 두 물살의 세력이 백중세면 바다가 아주 고요합니다. 김포에서는 그 상태를 ‘참’이라고 불렀어요. 그런데 갑자기 균형이 깨지는 순간이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07
아마존에 사는 전기뱀장어지. 꼬리에서 최대 550V의 전기를 만들어내거든. 이 정도면
민물
고기, 개구리는 물론 말이나 사람도 죽어. 얼룩통구멍은 모래와 비슷한 색을 띠고 모래 속에 얼굴만 내밀고 숨어 있다가 눈 사이에 있는 발전기관으로 먹이를 기절시켜. 토르망치에 머리만 콕 대도 토르는 바로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06
될 때마다 칼같이 두 개의 개체로 나뉘는 식으로 기하급수적으로 개체 수를 늘린다. 이
민물
지렁이가 이렇게 열정적으로 개체수를 늘리는 까닭은 잠자리 유충 등 포식자로부터 잡아먹히는 속도보다 개체수를 더 빨리 늘리기 위해서다.과학사 속에서 새로운 개념의 등장은 꼭 실험실에서만 이뤄지지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
과학동아
l
201206
맺히는 영상이 더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또 빅오 쇼는 안개효과를 낼 때 쓰는 담수(
민물
)를 제외하고는 모두 바닷물을 쓴다. 담수는 부식이나 여러 가지 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담수를 쓰면 바다를 주제로 하는 박람회의 취지에 어긋나고, 쇼에 사용되는 엄청난 양의 물도 감당하기 어렵다.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4
이용해 태양열 에너지로 바닷물을 담수로 만들 수 있다. 담수는 염분이 포함되지 않은
민물
로, 생활 용수나 산업 용수로 많이 쓰지만 지하수나 강물로는 양이 부족해 한계가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곽희열 책임연구원은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해 바닷물을 뜨겁게 데운 후, 바닷물을 담은 통의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03
내려간다. 어떤 물에서 사느냐에 따라 부레에 모아두는 공기의 비율이 다른데, 대개
민물
에 사는 물고기보다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부레에 산소 비율이 높다.하늘을 나는 곤충이나 새의 몸속에도 이와 비슷한 쿠션(기낭)이 들어 있다. 기낭에 공기를 모아두면 체중이 가벼워져 날기가 훨씬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