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생태공학을 응용한 대표적인 사례다.강 교수가 생태공학에 관심을 갖게 된 때는 환경
대학
원에 진학해서였다. 박사논문을 준비하면서 윌리엄 미취 교수가 쓴 ‘습지’(Wetland)라는 책을 읽었는데, 그게 생태공학과의 첫 인연이었다. 그러다가 미취 교수의 실험실을 방문해 같이 연구하고 논문을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포옹의 비밀을 풀어줄 의미심장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스웨덴 살리렌스카
대학
병원 신경생리학부 하칸 올라우손 교수는 어루만지는 자극에 기분좋게 반응하는 신경망이 피부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촉각은 주로 고속 신경조직망에 의해 초속 60m의 빠른 속도로 뇌에 전달된다. 외부의 압력이나 ... ...
라식수술 부작용 줄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펄스 폭(시간당 나오는 에너지)을 측정하는 장비다. 연구팀은 이 장비를 이용해 국내 유명
대학
병원 안과를 비롯한 7곳의 안과병원에서 라식수술용 레이저의 성능을 시험하기도 했다.정 박사는 “특히 레이저 세기를 재는 기계(ECPR)는 연구원이 보유한 광도원기(극저온 절대복사계)를 이용해 출력의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태생 하이델베르크·뮌헨·괴팅겐·파리 등지에 유학, 1866년 페테르부르크 공과
대학
교수로 부임하고 81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할로겐을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 러시아의 화학자 F K 바일슈타인이 고안하여 이렇게 명명되었다구리선을 분젠버너로 가열한 다음 여기에 미량의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그 다음에는 무슨 일이 발생할지 일일이 물었다.그 결과 놀랍게도 포레족은 미국의
대학
생과 일치하는 대답을 했다. 이는 다윈의 주장과 일치하는 얘기였다. 인간은 자신의 감정을 얼굴에 표현하고 상대방의 표정에서 감정을 읽어내는 능력을 타고났다. 인간에게 ‘표정 유전자’가 있는 것일까 ... ...
신구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제주도에는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 사이에 집을 고치고 이사하는 ‘신구간’(新舊間)이라는 특이한 풍속이 있다. 이 풍속이 언제 시작됐고 어디서 유래했는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해마다 1월 25일부터 2월 1일 사이가 되면 제주도는 이삿짐 행렬로 장사진을 이룬다. 왜 제주도에만 이런 풍속이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 1990 과학기술처 차관 / 199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 1998 SK텔레콤 부회장 / 1999 초당
대학
교 총장 / 1999 과학기술부 장관 / 2004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 이사장 / 2004 전자무역추진위원회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 즐거운 크리스마스 보내고 있지?어, 그런데 저 친구들은 왜 울상이지? 정형동 친구는 울보도 아닌데 크리스마스 선물을 못 받았다고? 이런 이런! 우재석 친구는 장난도 안 쳤는데 양말이 텅 비었어? 또 박명숙 친구는 크리스마스 선물로 받은 치킨을 동생이 다 먹어 버렸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센서로 감지해 무릎과 엉덩이 관절을 움직여 준다. 생각만으로도 걸을 수 있는 셈. 서강
대학
교 기계공학과 학생들이 만든 이 로봇은‘2006 대한민국발명대전’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았다. 곰처럼 힘센 구조 로봇 베어로봇영화‘라이언 일병 구하기’를 보면 한 명의 병사를 구조하기 위해 많은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Ⅳ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시험을 봤어요. 아무리 쉬운 구구단이라도 저압실에서는 생각이 잘 나지 않는 답니다. 한
대학
교수는 8곱하기8을 63이라고 쓰고 말았답니다. 중력 때문에 피가 오르락 내리락우주에 가면 중력을 느낄 수 없어 피가 머리 쪽으로 몰려요. 다시 지구로 돌아오 면 머리에 몰렸던 피가 제자리를 찾으면 ... ...
이전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