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뛰어다니는 전광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사이언티스트’지는 최근호에 호주 시드니
대학
교의 미첼 페이지 교수팀이 개발한‘전광판’이 달린 농구 유니폼을 소개했다. 이 유니폼이 실용화되면 선수만 봐도 경기 내용을 모두 알 수 있다.유니폼 상의에는 글자나 숫자를 표시하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가 옆구리, 어깨, 가슴, 등 네 군데에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종류는 유기물인 쓰레기를 먹고 분해해 전기를 만들어 낸다. 실제로 미국의 펜실베니아
대학
교에서는 이 박테리아가 쓰고 난 물을 깨끗하게 하면서 전기를 생산해 내는 장치를 개발했다.또한 우주에서는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도 꼭 확보해야 한다. 화성의 극관에서 얼음을 찾는다해도 그냥 마실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기술자 사진용 인화지 벨록스, 합성수지 베이클라이트의 발명으로 유명하다 21세 때 겐드
대학
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가르쳤다 1889년 미국의 초청을 받아 사진필름 인화지 제조회사에서 2년 동안 연구했다 작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 ...
PART4 내 몸에 꼭 맞는 암예방법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대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질병관리본부와 국립암센터 그리고
대학
을 중심으로 1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암코호트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 소규모 코호트 연구를 컨소시엄으로 묶는 노력이 함께 이뤄지고 있다.암코호트 연구가 마무리되면 맞춤형 암예방 프로그램을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세로노 같은 세계적인 제약기업이 들어서 있다. 그 바탕에는
대학
의 연구기관이 있고, 각
대학
은 자신만을 고집하지 않고 문을 열어 놓고 있다.로잔공대는 6500명의 학생 중에서 40%가 외국인이다. 또 지난해 4월에는 우리나라 KAIST와 로잔공대가 과학기술협력회의를 열어 교류의 문을 넓히는 노력이 ... ...
사회정의파 엔지니어 변호사 채방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기여한다는 자부심도 가질 수 있었고 장래도 보장됐죠.”청운의 꿈을 안고 들어간 공과
대학
에서 그는 좌절했다. 적성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전공을 법학으로 바꿀 결심을 했다. 하지만 4살부터 외아들을 홀로 키워온 어머니는 물론 주변에서도 모두 말렸다. 장래가 보장된 엔지니어를 ... ...
숨바꼭질 잘하는 색맹 원숭이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원숭이가 정상 원숭이보다 곤충 사냥을 더 잘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캐나다 캘거리대
대학
원생 아만다 멜린은 색깔을 구별 못하는 ‘흰목꼬리감기원숭이’가 색 위장술을 쓰는 곤충을 잘 찾는다고 국제동물행동학회가 발간하는 ‘동물행동학회지’ 1월호에 발표했다. 곤충은 천적의 눈을 ... ...
당신도 '프로슈머'입니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평범한
대학
생이었던 임정현 씨는 지난해 8월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취미로 기타를 치던 임씨가 캐논의 파헬벨을 기타로 연주하는 모습을 직접 찍어 국내 한 포털에 올렸고, 이 동영상이 미국의 동영상 공유사이트인‘유튜브’에서 엄청난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뉴욕타임스가 극찬한 것이 ... ...
나는 어떤 얼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작은 눈과 반달눈썹, 작은 입…. 미인도의 미인은 요즘 미인과는 많이 달라요. 최근 연세
대학
교 인지과학연구소는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본상을 받은 171명의 얼굴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최근에 미스코리아로 뽑힌 미인들은 예전 미스코리아보다 이마는 길어지고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생태공학을 응용한 대표적인 사례다.강 교수가 생태공학에 관심을 갖게 된 때는 환경
대학
원에 진학해서였다. 박사논문을 준비하면서 윌리엄 미취 교수가 쓴 ‘습지’(Wetland)라는 책을 읽었는데, 그게 생태공학과의 첫 인연이었다. 그러다가 미취 교수의 실험실을 방문해 같이 연구하고 논문을 ... ...
이전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