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지음 사이언스북스 |390쪽 1만 5000원어릴 때부터 하늘이 좋아 천문우주학과에 들어갔다.
대학
원에서는 고층대기와 위성자료처리 분야에 관한 연구를 했다. 그래도 여전히 내게 과학자로서의 정체성은 없었다.기상청에 들어와 한동안 일중독자처럼 살며 병원 신세도 졌지만 영어와 숫자로 만든 ... ...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토성을 처음 봤을 때의 진한 감동이 밀려왔다.25년 ‘우주 소리’ 현악으로 다시 태어나
대학
시절 처음 봤던 망원경속토성의 모습과 몇년전감상한 빌스마의 중후한 첼로 소리는 필자에게 인생 최대의 감동으로 남아있다.두 기억 모두 파동(빛과 소리)이 마음을 울렸다는 공통점이 있긴 하지만 첼로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대학
과정의 수학 강의를 듣고 A학점을 받아냈던 것. 강의를 맡았던 교수에게
대학
입학의 필수인 추천서를 받았음은 물론이다. 이런 ‘전략’으로 그는 MIT 기계공학과에 들어갔다.“공대 여학생으로서 ‘톰보이’(tomboy) 이미지는 싫었어요. 공구함을 들고 다니면서도 ‘너는 공대생 같지 않고 ... ...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천체 사진을 보며 호기심을 품은 지구과학과 달리 수학과는 ‘통’(通)하지 못했다. 그는
대학
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며 비로소 수학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그가 수학을 공부하며 가장 힘들었던 점은 바로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 쓸까’하는 의문이었다. 현실에서 ‘수학’하면 고작 ... ...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아니었다. 그리고 6년 동안 몇몇 기념할 일들이 생겼지만 아버지는 참석하지 않았다.
대학
졸업식에도, 첫 개인전에도 어머니만 꽃다발을 사들고 왔다.두 번째 개인전을 준비할 때 잇달아 비보가 날아들었다. 교통사고로 어머니가 소천한 뒤 보름 만에 아버지가 비행기 창에 머리를 들이받다가 ... ...
산불 점치는 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날 곳을 미리 알 수 있을까?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교 다 로버츠 교수는 산불이 날 잠재적인 위험을 갖고 있는 곳까지 찾아 내는 기술을 최근 개발했어요. 로버츠 교수는 “위성으로 식물의 습도, 산 나무, 죽은 나무의 비율을 측정해 산불이 날 위험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해요.만약 어느 산에서 ... ...
사이버 공간에 숨어있는 '훔쳐보기'와 '노출하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양은 기사의 이해를 도우려고 가상으로 설정한 인물입니다.)한 달 전 여자친구와 헤어진
대학
생 이 씨. 일방적으로 이별을 통보받은 이 씨는 여자친구를 잊을 자신이 없다. 그래서일까. 언제부터인가 이 씨에게는 새로운 습관이 하나 생겼다.바로 그녀의 미니홈피를 매일 훔쳐보는 것. 만나지 않고도 ... ...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독일의 경우 교사에게 학습 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을 준다. 따라서 교과서가
대학
교재처럼 두껍지만 교사도, 학생도 전혀 부담스럽지 않다.또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서 실생활과 접해있고 다른 분야와도 연결되는 소재를 교과서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행렬 단원을 놓고 우리나라 ... ...
PART3 수학의 봄날 올까?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프로그램, 8월에는 중등 3학년의 수학세미나를 개최한다. 덕분에 영재교육이 단지 좋은
대학
에 들어가기 위한 수단이 아닌 정말 수학을 좋아하는 학생을 키워내는 제 목적을 다할 수 있다.수학비전 2020, 수학 없이 과학기술도 없다인도의 수학교육은 ‘모든 학생을 위한 수학’과 ‘엘리트를 위한 ... ...
소설가 - 김탁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가림막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한켠에 쌓인 수백장의 기와 뒤에서 KAIST 문화기술
대학
원의 김탁환 교수가 모습을 드러냈다.“요즘 한옥을 주제로 한 작품을 구상하고 있어서 연구실을 예스럽게 꾸며봤어요.”김 교수의 첫마디였다.김 교수는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황진이’의 원작을 쓴 작가로 ... ...
이전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