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검사였기 때문이다. 낯선 환경에 노출되면 파충류는 그저 가만히 ‘멍 때리는’
반응
을 보이기 일쑤였고 검사 결과는 늘 바닥이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사람들로 하여금 파충류가 아둔하고 게으른 동물이라고 계속 인식하게 만들었다. 단단하고 기하학적 모양을 지닌 등껍질, 느린 동작, 커다란 ... ...
배고프면 우울해지는 건 ‘OOOO’ 때문
2015.04.27
작동을 인위적으로 꺼 놓은 쥐는 기호에 따라 영양가가 없는 음식을 별 다른 거부
반응
없이 먹었다. 더 나아가 오렌지향을 좋아하는 쥐는 오렌지향이 나는 음식물을 선호하게 되는 등 기호까지 생겼다. AGRP 뉴런이 작동을 멈추자 체내 영양소가 부족한 데서 오는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된 것이다.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일주리듬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빛이 조금 더 강해지면 원뿔세포의 아이오돕신이 주로
반응
한다. 빛이 충분히 많아져야 멜라놉신이 임무를 교대한다. 영국 맨체스터대의 생물학자들은 이 과정에 원뿔세포까지 관여하는 건 지나친 중복이 아닌가하는 의문을 제기했다. 즉 멜라놉신이 둔감해 빛이 ... ...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
과학동아
l
2015.04.27
발견됐다. 한국어로 치면 “아버지가 돌아가셨어”라는 말에 어색하게 “미안해”라고
반응
하는 것처럼. 뒤섞인 두 사고체계를 분리할 수도 있다. 영국 랭카스터대 심리언어학과 파노스 아타나소풀로스 교수는 영어-독일어 이중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해봤다. 언어특성상 영어와 독일어는 ... ...
우리 뇌는 ‘투명인간’을 받아들일 수 있나
2015.04.26
또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자신이 투명하다고 느끼는 상태에서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반응
을 측정했다. 그 결과 평소(투명인간이 아닐 때)보다 투명인간일 때 대인 관계의 스트레스가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낯선 사람들이 자신을 보거나 신경쓰지 않는 데에서 편안함을 느꼈다는 뜻이다. ... ...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과학동아
l
2015.04.25
튀어나온다. 문제는 보관이다. 양전자는 1마이크로초(100만분의 1초)도 안 돼서 전자와
반응
해 감마선을 내며 사라진다(쌍소멸). 전자와 만나지 않게 진공상태에서 자기장, 전기장을 걸어 실린더 안에 보관할 순있다(페닝 트랩). 하지만 통 안에 저장할 수 있는 양전자 개수는 제한돼 있다. 같은 ... ...
드라마 ‘냄새를 보는 소녀’, 냄새 정말 볼 수 있나
2015.04.24
수상한 리처드 액설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코 안에 있는 후각 수용체가 냄새 분자와
반응
하면 뇌에 이 신호가 전달되고 냄새를 인지하게 된다”면서 “동물의 타고난 후각 능력은 후각 수용체의 개수가 결정한다”고 말했다. 니무라 교수팀이 규명한 포유류 13종의 후각수용체 유전자 수 - ... ...
피부에 붙여 실시간 진단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
2015.04.22
그래핀과 나노와이어를 동시에 활용해서 무선 스마트 센서를 개발했다. 인체 단백질과
반응
해 저항값이 변하는 그래핀으로는 센서를 만들고 저항이 작은 은나노와이어로는 전류를 흘려주는 부위인 전극을 만들어 결합시킨 것이다. 이 센서는 투명한데다 반으로 접거나 최대 2배까지 잡아당겨도 ... ...
백혈구 위치 초당 60번 확인… 세포단위 검사·치료 가능해졌다
2015.04.21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세포 단계의 수술 작업을 할 수 있고, 세포의
반응
, 수술 예후 등을 모니터링하는 일도 가능해 질 걸로 보고 있다. 또 세포의 운동을 물리적으로 분석하면 구슬의 3차원 위치 뿐 아니라 기존에는 어려웠던 세포 내부 성분과 총량에 대한 정확한 수치 측정도 ... ...
[신나는 공부]시끌벅적 카페가 집중력 높여준다?
동아일보
l
2015.04.21
원장은 ”독서실 칸막이를 답답해하는 학생들을 위해 새로운 공간을 만들었다. 학생들
반응
이 좋다”고 말했다. 소음 들으며 공부? 카공족들은 독서실의 적막한 분위기보단 사람들이 대화를 나누는 작은 목소리와 잔잔한 음악이 뒤섞인 카페 내부의 적당한 소음이 오히려 집중력을 높이는 데 ... ...
이전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