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527건 검색되었습니다.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학술 정보 서비스 기업 ‘톰슨로이터’가 유룡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
반응
연구단장(59·KAIST 화학과 특훈교수)을 올해의 노벨 화학상 후보로 지목했다고 25일 밝혔다. 톰슨로이터가 한국인을 노벨상 후보로 선정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톰슨로이터는 노벨 화학상이 수여될 가능성이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개발해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 센서는 작고 가벼우면서도 적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
한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센서(PMT)에 비해 사용전압도 100분의 1로 줄였다. 수입에 의존하던 기존 센서들은 진공관 방식이어서 크고 무겁다. 다양한 의료용 영상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제공 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우리 몸이 뇌손상 같은 응급상황에 즉시
반응
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라며 “외상으로 뇌손상을 입은 응급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나온다) 반감기가 약 5730년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
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갖고 있지만 사체가 된 뒤에는 대기와 더 이상 탄소교류를 하지 않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14의 비율이 줄어들게 ... ...
‘광합성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나
2014.09.17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남원우 이화여대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특히 광합성
반응
을 일으키는 광합성 효소 속에는 칼슘이 있는데, 이 칼슘이 정확히 무슨 일을 하는지 그동안은 잘 알지 못했다. 최근 남원우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는 광합성 효소의 칼슘 이온이 물을 산화시켜 ... ...
물에 햇빛 쪼였을 뿐인데 수소가 펑펑
2014.09.16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금 나노입자에서 방출되는 열전자의 수명이 너무 짧아
반응
효율이 낮다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금 입자에 나노소재를 붙여 열전자의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촉매는 금 나노입자만 사용했을 때보다 74배 많은 양의 수소를 생산했다. 이 교수는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실험을 할 때는 하얀 실험복 대신 앞치마를 두른다고 한다. 말도 안 되는 얘기라는 주위
반응
에도 5년 간 꿋꿋하게 실험을 해온 오보카타 박사의 집념도 놀랍지만, 갓 서른인 여성과학자의 대담한 가설을 믿고 실험실을 맡긴 리켄의 선배 과학자들의 관용과 혜안이 더 놀랍다.” ● 당사자는 결백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없기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낍니다. 의료진들은 삽입된 위치가 정확한지 뇌와 손의 실시간
반응
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켜게 했습니다. 그랬더니 실제로 수술 초반 심하게 떨리던 손이 점차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는 같은 이유로 수술 도중 기타를 연주한 환자도 ... ...
이산화탄소가 걱정이세요? 촉매가 있잖아요
2014.09.12
Ag) 입자에 황(S)을 더하자 촉매
반응
에 필요한 전기에너지 양이 줄어들었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해 단기간에 새로운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김형준 KAIST EEWS대학원 교수팀은 슈퍼컴퓨터에서 양자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이산화탄소(CO2)를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① 특정파장의 빛을 흡수한 막대형 금 나노입자가 광열전환
반응
을 통해 순간적으로 뜨거워진다. ② 뜨거워진 나노입자는 녹아서 반구(Hemisphere) 형태로 변형된다. ③ 그래핀 위에서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나노크기의 구멍을 형성한다. - 서울시립대 최인희 교수 제공 ... ...
이전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