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527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결함만 찾아내 수리한다
2014.09.10
부위에서 흡착이 일어나 그래핀의 결함이 치유됐다. 백금 전구체는 고온에서 산소와
반응
할 때 백금을 생산하는 가스다. 이렇게 치유된 그래핀은 백금의 높은 전도성 덕분에 전극이나 가스센서로서의 성능도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로 그래핀의 결함을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마그네슘-소금물’ 전지를 쓰는 방법도 있다. 마그네슘은 소금물과
반응
하면 화학
반응
을 일으키면서 전기를 만들게 되는데, 이 원리를 적용해 자동차를 달리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전기차 운전자는 충전소에 들러 배터리가 아니라 차 속에 들어 있는 ‘마그네슘 판’을 갈아 넣고 소금물을 ... ...
'더도말고 덜도말고' 추석처럼 폭식하다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9.06
더 많은 양을 먹어야 '배부름'을 느낄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신경이 기존의 섭취량에도
반응
할 수 있도록 돌아오는데 2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포만감을 느끼기 전에 먹는 음식섭취를 멈추는 것이 힘든 만큼, 2년 동안에는 음식 섭취량을 줄이기 어렵고, 비만이 될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유전자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또 대장균이 인슐린을 만드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각
반응
이 빨리 일어나도록 설계해 인슐린 생산 효율을 극대화했다. ●산삼의 ‘사포닌’도 세포 공장에서 뚝딱 바이오디자인으로 만든 세포 공장은 쓰임새가 무궁무진하다. 품질 좋은 약용 물질과 기능성 ... ...
포기하지 않는 사람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복내측시상하핵 전전두엽 피질은 감정 조절을 담당한다. 연구진은 두 부위가 동시에
반응
했다는 사실은 시련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인식한 경우 뇌가 시행착오를 학습하고 감정을 조절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뿐만 아니라 교육학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말이다. 그렇다면 SPP 모형의 ‘가장 가까운 이웃 규칙’에 해당하는 메뚜기의 생리
반응
은 무엇일까. ○세로토닌 수치 변화가 필요충분조건 이집트땅메뚜기 떼가 형성되는 과정. 밀도가 낮을 때는 홀로 지내고 몸색깔도 녹색이다(A). 밀도가 높아지면서 서로 가까워지면서 자극을 주고받아(B)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아는 척’을 챙겨보지 않은 평범한 독자라면 ‘양자역학’이란 말을 들었을 때 느끼는
반응
은 보통 두 가지다. “뭔지 모르므로 관심없음” 혹은 “듣기만 해도 염증이…” 과학을 쉽게 풀어쓸 줄 아는 과학저널리스트 데이비드 보더니스가 우리가 사는 집 속에 꼭꼭 숨은 과학 이야기를 한 권의 ... ...
미래에는 어떤 에너지를 사용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8.28
미생물 연구부터 미생물을 회수하고 생산된 원료를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재료 연구,
반응
기를 설계하고 운전하는 공정 연구까지 여려 연구 분야가 동시에 개발돼야 한다. 바이오에너지의 태동 배경과 현행 바이오에너지의 문제점, 최근 각광받고 있는 미세조류 바이오에너지에 대해 알아볼 수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뇌의 특정 영역을 정확히 찾아냈다. 또 낯선 쥐를 우리안에 집어 넣자 쥐의 뇌신경이 과민
반응
을 보이는 현상도 탐지하는데도 성공했다. 김 교수는 “뇌 신경세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단일 신경세포로부터의 신호를 높은 감도로 포착할 수 있었다”며 “정밀한 뇌신경 3차원 지도 작성에 ... ...
땅콩 알레르기 막는 ‘착한’ 장내 미생물은?
2014.08.26
속에 사는 클로스트리디아가 면역 신호물질인 인터루킨 22(IL-22)를 많이 생산해 알레르기
반응
을 막는다고 설명했다. 보통 땅콩 알레르기는 IL-22의 양이 적을 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내글러 박사는 “장내 미생물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식품 알레르기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