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습"(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수재로 판단했다. 하지만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사춘기도 길어지는 상황에서 빠른 학습 능력을 계속 수재의 근거로 삼아야 할지 생각해볼 문제다. 게다가 청년의 기준 역시 점점 늘어나 35세, 심지어 40세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반면 유아기는 10세 무렵에 끝나버린다. 어쩌면 사춘기를 겪고 있는 1 ... ...
- [인터뷰]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박창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자기소개서는 지원 동기와 진학을 위해 기울인 노력, 수학 또는 과학 분야의 자기주도적 학습경험 사례와 이를 통한 성장과 변화를 기술하도록 하고 있다. 교과 이외의 활동에서 인상 깊었던 경험 세 가지와 여기서 배우고 느낀 점, 졸업 뒤 본인이 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여와 책임에 대해 기술하는 ...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적을 수 없는 만큼 수상경력이라 함은 곧 교내 대회 수상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우선 학습 계획을 수립하듯 수상을 위한 교내 대회 참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내 대회에 대한 정보 수집은 필수다. 학기 초 학교의 교육계획서 등을 통해 공지되는 연간 대회 일정을 ... ...
-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알 수 없어요. 두뇌의 성장 속도에 맞춰 단계별로 적합한 수학을 배워야 하지요. 선행학습보다는 학교 교과과정에 따르는 게 좋고, 공식을 암기하는 것보다 한 문제라도 스스로 생각해 해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러면 수학뿐 아니라 과학 과목을 공부하는 데도 도움이 될 거예요 ... ...
- [과학뉴스] UNIST AI 컬링, ‘디지털 컬링 대회’ 우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6만 건을 컬링 AI에 입력했다. 이후 AI가 스스로 생성한 약 450만 투구 데이터를 통해 강화학습을 거쳤다. KR-DRL은 3월 8일 경기 이천시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컬링센터에서 열린 ‘인간-로봇 컬링 대결’에서 활약한 AI 컬링 로봇 ‘컬리’에도 활용됐다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과학대회 수상을 위한 ‘꿀팁’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대회 참여 전략을 세운다면 좋은 성적을 거둘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자기주도적 학습의 사례로 삼아야요즘 교내 과학대회는 문제 풀이 위주의 경시대회와는 달리 학생의 사고력과 탐구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대회에 맞춰 따라가는 학생이 아닌 자기 주도적으로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다른 사람이 보기엔 엉망일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별 모형만 미리 학습시키기도 합니다. GAN은 요즘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뜨거운 기술이라, 이외에도 다양한 해결 방안이 나오고 있답니다. 답답해서 직접 만들었다 VR웹툰 효과툰의 출발선을 끊었던 호랑 작가가 최근 ...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설명한다. 산업별로 학습곡선의 기울기는 다르며, 그 중 컴퓨터, 의약품, 정유산업의 학습곡선이 가장 가파르다고 말한다. 액면분할 발표 이후 삼성전자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흔들리기는 했지만, 장기적인 전망이 꽤 밝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홍춘욱_hong8706@naver.com1993년 12월부터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속도로 노화하지만, 중년이 되면 개인별 편차가 매우 커진다는 뜻”이라며 “주로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부분, 에너지를 조절하는 부분, 뇌 세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40대 소뇌 부피, 20대의 약 91%‘이거 좀 가져와봐’ ‘너 그거 했니?’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않은 일반고 졸업생 사이의 차이가 사실상 없다. 이병호 학부장은 “교수들이 선행학습을 전제하지 않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가르친다”고 말했다. 인재상 소통하며 협업하는 연구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가 원하는 인재상은 뭘까. 이병호학 부장은 “수학과 물리 분야의 기초가 튼튼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