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DeepText)’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페이스북 엔지니어인 아매드 압둘캐더 등은 6월 2
일
페이스북 엔지니어링 블로그(code.facebook.com)를 통해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딥러닝은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지식을 배우는 인간의 학습방법을 모방해 대량의 데이터에서 ... ...
[과학뉴스] 광유전학 치료 임상 돌입… 신경 치료 새 빛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활동을 자극하는 기술인 광유전학을 환자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까. ‘네이처’는 5월 19
일
미국 레트로센스 세라퓨틱스사가 3월 세계 최초로 광유전학 치료법의 안전성 임상연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이번 임상연구의 목표는 광유전학을 이용해 망막색소변성증이라는 시각장애를 치료하는 ...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논쟁이 있어왔다. 그런데 이번에 화석이 새로 발견됨으로써 이 종이 고인류의
일
종이라는 데 힘이 실렸다. 아담 브룸 박사는 미국 과학매체 ‘피조그(phys.org)’와의 인터뷰에서 “호빗은 실재했다”며 “그들은 키가 작은 자바의 호모 에렉투스로부터 (비교적 최근에) 진화했거나, 아니면 (그보다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현재 천문학자들은 무거운 은하가 이론보다 적은 이유를 AGN 피드백으로 추정한다.
일
정 크기 이상 커진 은하에서 AGN이 켜지면 AGN 피드백에 의해 은하 성장에 ‘브레이크’가 걸리고, 따라서 이론적 예측과 달리 극도로 무거운 은하는 잘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AGN 피드백을 포함해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인정하는 장기이식법의 입법태도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며 “그러나 독
일
의 이식법이 미성년자를 보호하기 위해 미성년자의 기증을 처음부터 금지하고 있는 취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밝혔다.하 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해 우리 의료계와 정부가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mTor는 전반적인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한다. PI3K/AKT 경로는 건강한 세포에서도
일
어나는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암은 이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오로지 새로운 세포를 더 많이 만들기 위해서다.2. 기로에 선 피루빈산의 운명은?암 세포는 정상 세포가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알아볼 예정이다.연구팀은 이미 1991년부터 발생한 6000개 산사태를 조사해서 산사태를
일
으키는 핵심 요소 다섯 가지를 추려냈고, 이를 바탕으로 식을 만들었다. 여기에 실험 데이터와 누적된 관측 데이터를 더해 각 지질 종류별로 산사태가 얼마나 발생할지 확률을 정교하게 계산하는 식을 만들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받을 때 버틸 수 있도록 한쪽으로만 접히게 돼 있다. 반면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움직
일
수 있는 아이아이의 가운데 손가락은 체중을 버티기엔 적합하지 않다. 더구나 다른 손가락에 비해 터무니없이 가늘고 약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부러질 수도 있다. 그래서 사냥할 때가 아니면 보통 가운데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생명체로서의 활동을 멈추고 존재하기도 하지만, 사람을 숙주로 하는 감염 바이러스 중
일
부는 숙주가 사망하고 곧 죽어 버리죠. 포에베 버그가 이런 종류의 바이러스라면 갈색 오물에서 살아남을 확률은 많지 않습니다.그럼 포에베 버그가 균이라고 해봅시다. 포에베는 1898년에 발견된 토성의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
류 연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모든 파장의 정보를 볼 필요가 없다. 적조를
일
으키는 미생물의 엽록소가 흡수하는 극히
일
부분의 파장만 보면 된다. 이처럼 전체에서 필요한 정보를 압축하고 추려내는 과정이 전처리인데, 원본 데이터의 양이 워낙 크다보니 전처리에도 시간이 꽤 많이 걸린다.손영백 KIOST ... ...
이전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