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mTor는 전반적인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한다. PI3K/AKT 경로는 건강한 세포에서도
일
어나는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암은 이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오로지 새로운 세포를 더 많이 만들기 위해서다.2. 기로에 선 피루빈산의 운명은?암 세포는 정상 세포가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알아볼 예정이다.연구팀은 이미 1991년부터 발생한 6000개 산사태를 조사해서 산사태를
일
으키는 핵심 요소 다섯 가지를 추려냈고, 이를 바탕으로 식을 만들었다. 여기에 실험 데이터와 누적된 관측 데이터를 더해 각 지질 종류별로 산사태가 얼마나 발생할지 확률을 정교하게 계산하는 식을 만들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흐르자 의사소통 방식에 조금씩 차이가 생겼다. 각 지역의 팔굽혀펴기 방식 차이는
일
종의 사투리(방언)인 셈이다.그런데 용암도마뱀들의 방언은 변화가 점점 커져서 지금은 서로 다른 지역의 용암도마뱀들끼리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가 됐다. 이런 ‘언어장벽’ 때문에 갈라파고스 제도의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치에하노베르 교수는 권 교수보다 열다섯 살 위다). 목표를 세우는 건 무척 따분한
일
입니다. 그 목표를 해결하고 난 뒤에도 인생은 계속되니까요. 궁금했던 무언가를 알고 나면, 이제 또 다른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제가 궁금한 것을 연구하며 살아갈 생각입니다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만드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호기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소한
일
에도 관심을 갖고 스스로 해결법을 고민하다 보면 자신의 꿈도 계속 발전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 ...
[쇼킹 사이언스] 레트바 호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염도가 몸 바깥보다 낮기 때문에 몸 안의 물을 바깥으로 내보내려는 ‘삼투압 현상’이
일
어나거든요. 그러면 세포 안의 물이 밖으로 나오며 세포가 쪼그라들게 돼 살아남기 어렵답니다.하지만 두날리엘라 살리나는 몸 안에서 글리세롤을 만들어 내 세포막 밖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걱정할 것 없다”고 답했어요. 알파고는 바둑에 특화돼 ‘인간 지배’ 등 다른
일
을 할 수 없는 구조라는 거예요. 또한 알파고는 대국 중에 이상한 수를 두거나 승률 계산에 틀리는 등 다양한 허점을 보였어요.구글 딥마인드의 CEO이자 알파고 개발자인 데미스 하사비스 박사는 “인공지능 연구는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있는 자석이 지구의 자기장에 반응해 항상 같은 곳을 가리키기 때문이랍니다.조류와
일
부 포유류의 망막에 있는 크립토크롬 단백질은 나침반과 비슷한 역할을 해요. 크립토크롬 단백질은 지구의 자기장과 반응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는 뇌로 전달된답니다. 즉, ‘자기장을 보는 눈’을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인공지능 로봇 ‘ 바두게 다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곧 허무함의 눈물을 흘려야 했다. 이번 대회의 상금은 인공지능 세계에서만 쓰이는
일
종의 특수 화폐였던 것이다.“인공지능 세계에서 이걸로 뭘 할 수 있나요?”“글쎄요…. 아바타 꾸미기를 평생 할 수 있겠네요!”“이 상황에 맞는 말은 ‘그림의 떡’, 띠리리리-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한국계 수학자가 찾다하지만 이 문제는 80년 동안 풀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최근 미국
일
리노이대 수학과 앤드루 석 교수가 답에 매우 가까운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지난 4월 논문이 인터넷에 올라오자 이 분야 수학자들이 모두 깜짝 놀랐습니다. 기존의 결과보다 답에 훨씬 가까워진데다가 이미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