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박사는 “위성실험은 여러 등가원리 실험 중 하나일 뿐”이라며 “끈이론, 고리양자중력 이론 등 중력을 설명하는 이론이 다양한 만큼 등가원리 실험 자체도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위 박스 참조) ...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아니라고 했다. 동력기였고, 사람이 탔다. 그리고 하늘을 날았다. 그것도 조선 하늘을. 일본군에 포위된 진주성을 새처럼 날아 넘어가 사람을 구했다고 했다. 이런 이야기를 진지하게 연구해 책을 쓴 젊은 항공공학자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이상하게도 황당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오히려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포는 모계 미토콘드리아 비율이 낮아져 정상적으로 잘 자랐지만, 한 세포에서 문제가 일어났다. 처음에 모계 미토콘드리아 비율이 1.3%였던 이 세포는, 36세대가 지난 뒤 비율이 53.2%까지 상승했다. 에글리 박사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 (세 부모 아이) 연구를 진행하는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알아볼 예정이다.연구팀은 이미 1991년부터 발생한 6000개 산사태를 조사해서 산사태를 일으키는 핵심 요소 다섯 가지를 추려냈고, 이를 바탕으로 식을 만들었다. 여기에 실험 데이터와 누적된 관측 데이터를 더해 각 지질 종류별로 산사태가 얼마나 발생할지 확률을 정교하게 계산하는 식을 만들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흐르자 의사소통 방식에 조금씩 차이가 생겼다. 각 지역의 팔굽혀펴기 방식 차이는 일종의 사투리(방언)인 셈이다.그런데 용암도마뱀들의 방언은 변화가 점점 커져서 지금은 서로 다른 지역의 용암도마뱀들끼리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가 됐다. 이런 ‘언어장벽’ 때문에 갈라파고스 제도의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아예 날아갔네.”“진짜 어떡하지…, 그냥 다른 애들 평균값 뽑아서 줘 버릴까….”강선일 교수의 투덜거림을 뒤로 하고 한진영 교수는 로봇의 데이터가 늘어난 메커니즘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때 윤정은 방학을 맞아 편안하게 늦잠을 자고 있었고, 소연은 뉴델리에서 서울로 가는 항공편을 ... ...
- [쇼킹 사이언스] 레트바 호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염도가 몸 바깥보다 낮기 때문에 몸 안의 물을 바깥으로 내보내려는 ‘삼투압 현상’이 일어나거든요. 그러면 세포 안의 물이 밖으로 나오며 세포가 쪼그라들게 돼 살아남기 어렵답니다.하지만 두날리엘라 살리나는 몸 안에서 글리세롤을 만들어 내 세포막 밖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밝혔답니다. 딥러닝으로 배우면 이야기도 척척~!딥러닝은 ‘창의력’이 필요한 일에서도 힘을 발휘해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장병탁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이 이야기를 스스로 추론하는 ‘상상력 기계’를 연구하고 있어요.연구팀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설계한 다음, 이 프로그램에게 ... ...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유니세프의 ‘2014 세계 아동현황보고서’를 보면 전세계 어린이의 15%가 공부 대신 일을 한다고 해요.우리가 필기구를 모아 전달하면, 이런 친구들은 색다른 경험을 하고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거예요.서랍 속 잠자는 펜을 보내 주세요!친구들의 책상 속에 잠자고 있는 학용품을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되는 데 잠복기가 있다면 어떨까? 공격을 입은 즉시 바로 좀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좀비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좀비 보균자 수에 관한 방정식을 하나 더 만들어야 한다.연구팀은 잠복기까지 고려해서 방정식을 만들어 풀었다. 그 결과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잠복기가 ... ...
이전6756766776786796806816826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