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공로로 1960년 노벨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나왔어요. 전 이런 아이디어를 살려 2010년, 허파 꽈리 구조를 닮은 장기 칩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에 발표했죠.허파는 포도송이처럼 생긴 허파 꽈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칩 위에서 이런 모양을 구현했죠. 기체가 드나들 수 있는 공간 가까이 폐포 세포가 자라는 공간을 배치했고, 혈관이 ... ...
- [수학뉴스] 코로나19와 세포의 싸움 수학으로 들여다본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4월 29일 자에 실렸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최초 은하 탄생, 25억 년 빨랐을 수도?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인정받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은하에서 관측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 /s41586-020-2276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퀀텀닷 소자의 효율을 약 9.5%로 끌어올려 미국화학회(ACS)가 발행하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인 ‘ACS 에너지 레터스’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energylett.0c00638자발광 퀀텀닷 개발은 세 가지 색 소자의 발광 효율을 모두 20%대로 끌어올리는 것에서 끝나지 않는다. 세 가지 색 소자가 모두 함께 있을 ... ...
- [수학뉴스] 게임 이론으로 암 치료법 찾는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모형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영국왕립학회보B: 생명과학’ 4월 22일자에 실렸습니다. ... ...
-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다이아코니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자세한 증명 과정을 담은 논문을 학술지 ‘응용확률론연보’에 발표했습니다.리플 셔플을 8번 이상 했을 때 카드가 무작위로 섞인다는 걸 증명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스텝 1) 리플 ... ...
- [이달의 수학자] 이 시대의 진정한 폴리매스, 데이비드 멈퍼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발전은 얼마나 자유롭게 학술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저는 제 모든 연구를 대중에게 무료로 공개하겠습니다.”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 필즈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멈퍼드 미국 브라운대학교 응용수학과 명예교수는 자신의 모든 업적을 무료로 온라인 ... ...
- [한페이지 뉴스] 우주선(cosmic ray), 지구에서도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장기 우주탐사와 화성 착륙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5월 19일자에 실렸다. doi: 10.1371/journal.pbio.300066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사람의 눈은 시야각이 150~160도로 넓고, 시신경이 모인 황반의 분해능은 1arcmin (각분‧1arcmin은 60분의 1도) 정도로 높다. 또 카메라로는 절대 ... 훨씬 나은 분해능을 가진 인공 눈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20-228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