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학으로 넘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없을까요? 이안 그리피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연구소 교수팀이 그 답을 찾아 국제
학술
지 ‘IMA 응용수학저널’ 6월 2일자에 공개했습니다.마스크의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마스크 속 필터의 구멍입니다. 유해 물질을 거르면서도 호흡하기 쉽게 구멍 크기를 조절해 마스크를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최근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조상의 모습과 가깝다고 본다.하지만 2017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는 거대 바이러스가 고대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최근에 등장한 신종 바이러스라는 연구 결과가 실리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암세포에서 EBV의 DNA를 발견하고 EBV가 버킷림프종을 유발한다는 결과를 1970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이후 추어하우젠은 자궁경부암으로 연구 주제를 바꿨다. 1974년 자궁경부암의 원인을 주제로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국제회의에 참석해 HPV가 자궁경부암을 일으킨다는 가설을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세포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4년에는 기억이 복원되는 과정을 ‘네이처’에 공개했다. 또 상대를 기억하는 뇌 속 특정 영역을 찾아내고,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변하는 과정을 밝혀 각각 2016년과 201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공로로 1960년 노벨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예로 책 ‘더 리버’가 출판되기 1년 전인 1998년 영국의 의사 앤드류 웨이크필드는 국제
학술
지 ‘랜싯’에 MMR 백신(홍역바이러스, 멈프스바이러스, 풍진바이러스에 대한 혼합 백신) 접종이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백신 음모론과 관련된 다큐멘터리 ‘백스드(Vaxxed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바다에 빠진 사람은 파도에 휩쓸려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뒤 6시간이 지나면 생존자를 찾을 확률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수색할 곳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5월 26일자에 실렸습니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실과 새로운 가설을 통해 통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정식이
학술
지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됐어요. 크리스토프 콘슬라이스 영국 노팅엄대학교 천체물리학과 교수팀은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행성에는 반드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지적생명체로 진화한다는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학으로 밝힌 지독한 가뭄의 원인, 기후변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호 표지를 장식한 연구의 주제는 ‘지독한 가뭄’이었다. 지구의 물은 ①땅에서 증발한 물이 대기로 이동하고 ②대기 중의 물은 주로 빙하, 지하수를 머금고 있는 토양, 호수 등에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네덜란드와 독일 국제 공동연구팀은 2020년 5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 수용체에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4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단일클론항체는 부작용이 적은 암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