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용했습니다. 데이터 자체의 한계로 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학술
지에 발표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이었습니다. 이는 연구자가 보기 좋게 처리한 데이터를 시민이 FrogID에서 받아볼 수 있어 가능했습니다. 지사탐 앱이 지원하지 않는 ... ...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학으로 넘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없을까요? 이안 그리피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연구소 교수팀이 그 답을 찾아 국제
학술
지 ‘IMA 응용수학저널’ 6월 2일자에 공개했습니다.마스크의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마스크 속 필터의 구멍입니다. 유해 물질을 거르면서도 호흡하기 쉽게 구멍 크기를 조절해 마스크를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최근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조상의 모습과 가깝다고 본다.하지만 2017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는 거대 바이러스가 고대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최근에 등장한 신종 바이러스라는 연구 결과가 실리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계속 나오고 있다.미국 국립보건원(NIH)과 질병통제 예방센터(CDC) 등 공동연구팀은 국제
학술
지 ‘뉴잉글랜드저널 오브 메디신(NEJM)’ 에 사스코로나 바이러스-2가 에어로졸 상태에서도 3시간까지 살아남는다는 연구 결과를 2020년 4월 16일 발표했다. 이는 공기감염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고 봤던 예상을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공로로 1960년 노벨 ... ...
[수학뉴스] ‘7차원 초구’ 미스터리 풀렸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문제가 파생돼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
지인 ‘수학연보’ 5월호에 실렸습니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실과 새로운 가설을 통해 통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정식이
학술
지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됐어요. 크리스토프 콘슬라이스 영국 노팅엄대학교 천체물리학과 교수팀은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행성에는 반드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지적생명체로 진화한다는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학으로 밝힌 지독한 가뭄의 원인, 기후변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호 표지를 장식한 연구의 주제는 ‘지독한 가뭄’이었다. 지구의 물은 ①땅에서 증발한 물이 대기로 이동하고 ②대기 중의 물은 주로 빙하, 지하수를 머금고 있는 토양, 호수 등에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합성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유전적 체계는 완벽히 갖추고 있다.2020년 2월 12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 결과도 바이러스와 세균을 조금 더 가까운 존재로 만들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유전체혁신연구소와 덴마크공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임신부의 대변, 티베트의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세포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4년에는 기억이 복원되는 과정을 ‘네이처’에 공개했다. 또 상대를 기억하는 뇌 속 특정 영역을 찾아내고,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변하는 과정을 밝혀 각각 2016년과 201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