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도, 달 향한 꿈 쏜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년 동안 달 궤도를 돌면서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예상했다. 비크람과 프라그얀은 달 남극
표면
에서 지구 시간으로 약 14일간 작동하며 지구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찬드라얀 2호 궤도선에는 비크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레이저 반사경과 대면적 X선 ... ...
[과학뉴스]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또 토성에서 멀어질수록 이웃 위성인 엔셀라두스의 영향을 받아 푸른 빛을 띠지요.
표면
이 얼음으로 뒤덮인 엔셀라두스는 주변으로 푸른 얼음 입자와 수증기를 내뿜거든요. NASA는 ‘그랜드 피날레’라고도 알려진 카시니호의 마지막 탐사 결과를 4월 중 또 공개할 예정이랍니다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더위를 피하는 데 물놀이만한 게 또 있을까. 특히 수영장과 다양한 어트랙션(놀이기구)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워터파크는 전 세계인들이 사랑하는 여름 휴가 ... 슬라이드의 마찰을 최소화해야 튜브가 좌우로 더 크게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표면
에 끊임없이 물을 흘려보낸다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홀로카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굳은살이 있는 경우에도 피부
표면
에 있는 FA1과 깊숙이 있는 FA2 모두 민감도에서는 굳은살이 없는 사람들과 차이가 없었다”며 “굳은살이 압력을 감쇄시키지 않고 그대로 전달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는 굳은살이 두꺼우면 감각이 ... ...
비하인드┃아폴로11 성공을 만든 결정적 장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NASA)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인류 최초로 달
표면
에 발을 내디뎠다. 달
표면
에 선명히 찍힌 인류의 첫 발자국 사진을 한 번쯤은 봤으리라. 그런데 사실 발자국의 주인공은 암스트롱이 아니다. 발자국의 주인은 두 번째로 달에 내려선 버즈 올드린이다. 아폴로 11호 사령관(커맨더)이었던 ... ...
질서┃우주수축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처음에는 불그스름한 색으로, 다음에는 주황색으로 변하면서 온도는 이내 태양
표면
의 온도와 맞먹는 수천K까지 치솟는다.우주의 크기가 현재의 100만 분의 1이 되면 온도가 현재 별 내부의 온도와 맞먹는 수백만K으로 뜨거워져 별은 결국 이를 견디지 못하고 폭발한다. 우주가 지금의 10억분의 1로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만들어졌을까. 몇 가지 가능성이 있지만, 최근에는 꽁꽁 얼어붙은 우주먼지의
표면
에서 유기분자가 형성됐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흔히 우주에서의 화학 반응은 방사선을 쪼였을 때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는데, 두꺼운 얼음도 화학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가령 원자들이 우주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관심을 갖고 전파를 추적하고 있었다. 또한 전 세계 여러 천문대들은 우주비행사들이 달
표면
에 설치한 레이저 반사경을 이용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했다. 21세기 들어서는 여러 나라의 달 탐사 위성이 아폴로호의 착륙 흔적을 확인하기까지 했다. 무엇보다 우주비행사들은 지금까지 38 ... ...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두 위성의
표면
에는 모두 크레이터가 있으며, 먼지와 암석으로 이뤄졌다. 포보스는 화성
표면
에서 약6000km 떨어진 지점에서 화성을 7시간 39분마다 한 번씩 공전하고 있으며, 100년마다 1.8m씩 가까워져 5000만 년이 지나면 화성과 충돌하거나 화성 고리의 일부로 부서져버릴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크게 높일 수 있는 갈고리 모양의 미세한 털이 나 있거든. 이 털들이 벽이나 천장의
표면
분자에 달라붙어 벽에 붙을 수 있게 만들어주지.실제로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이 게코도마뱀의 발바닥을 모방해 만든 장갑을 끼면 사람도 건물 벽을 오를 수 있대. 하지만 아직 나처럼 재빠르진 않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