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변화하는 환경엔 말랑말랑한 내가 최고! 소프트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다른 로봇들은 사람과 부딪혀도 부서지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는구나. 우리 소프트로봇처럼 말랑말랑하다면 부서질 걱정은 없을 텐데 말야! 게다가 다양 ... 전기 등을 사용해 기계를 움직이는 장치.* 패러다임 : 어떤 한 시대에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는
이론
적 틀이나 개념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작동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꼭 풀어야 할 질문이니까요.최근에는 캐나다 페리미터
이론
물리학 연구소의 물리학자 제이콥 하우저와 바락 쇼섀니가 ‘여러 평행 우주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시간여행 역설을 겪지 않고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어요. 현재 내가 사는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고온의 플라스마로 이뤄져 있다. 플라스마는 고온에서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로,
이론
적으로는 광선검을 만드는 데 쓸 수 있다. 약 1m 길이로 플라스마를 가둬 놓은 게 광선검이라는 설정이다. 플라스마를 만들고 유지하려면 에너지원도 있어야 한다. 광선검의 에너지원은 ‘카이버 크리스탈 ... ...
[수학뉴스] 테렌스 타오 교수 덕에 빛을 본 고유 벡터 연구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사실을 증명한 거죠. 재밌는 사실은 2011년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에서 네트워크
이론
을 연구하는 피에트 판 미에그헴 교수가 이 방정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값인 ‘고유 벡터 항등원’을 이미 연구했다는 점입니다. 타오 교수의 연구 덕분에 알려지지 않았던 미에그햄 교수의 연구까지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세계가 우리가 개발한 기술을 시험하기 적합한 사례라고 생각했어요. 저는 그래프
이론
을 응용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어요. 사람들 사이의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과정은 복잡하고 지루하지만 완성된 네트워크를 분석하면 인간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것들을 알아낼 수 있죠.제가 분석한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대회에서 동상을 받았다. 하 교사는 “교구를 만들려면 체험할 때보다 더 많은 수학
이론
을 알아야 한다”며, “메이커 활동을 통해 동아리의 활동이 다양해졌다”고 말했다. FINDER 인기 비결은 수평적 문화FINDER는 교내 동아리 중 지원율이 세 손가락 안에 든다. 이색적인 활동과 더불어 수상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개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기도 하지만 집단의 변화에도 적용된다. ‘분리의 여섯 단계
이론
’에 따르면 여섯 단계만 거치면 서로 아는 사이다. 한 사람은 평생 150명 정도와 관계를 맺는다고 하는데, 한 명이 150명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셈이다. 한 단계를 더 거치면 1502명의 사람에게 정보를 ... ...
[한페이지 뉴스] 진공인데 열에너지가 전달되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고전 물리
이론
에서는 진공에서 이러한 힘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지만, 양자역학
이론
에 따르면 두 금속판 사이의 가상의 입자에 의해 미세한 양자화 장이 생성되고, 이런 양자 요동을 통해 열이 전달된다. 장 교수는 “진공에서도 양자 요동으로 열이 전달되는 새로운 기작을 알아냈다”며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책이 편집되는 사이에 실현된 경우도 있었죠. 기술적인 부분들은 대부분 현재
이론
적으로 구현됐거나, 연구 중인 자료들을 참고했기 때문에 수십 년 내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봅니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미국의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기계항공공학부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십여 개의 천문의기가 완성됐다고 나온다. 정초와 정인지는 주로 천문 서적을 탐구해
이론
적 기틀을 마련했고, 장영실은 이천과 함께 천문 관측의 원리를 살펴 실제 기구를 만드는 일을 담당했다. 처음으로 망원경을 만들어 목성의 위성까지 관측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같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