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룰도, 심판도 없다...스토브리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규칙 정도만 아는 백승수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비결이 있다. 바로 통계, 게임 이론 같은 수학적 방법을 이용해 야구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세이버메트릭스’ 덕분이다. 현재는 대부분의 야구팀에서 세이버메트릭스를 사용하지만, 미국에서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에는 돈이 부족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대 물리학의 두 기둥인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중심엔 ‘리군’과 각종 ‘행렬군’이 있습니다. 화학에서도 ‘공간군’을 통해 분자의 대칭 구조를 분석하고 예측합니다. 대칭적인 평면의 벽지 무늬를 분석한 ‘벽지군’은 예술과의 접점도 있고요. 이런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판단하고 받아들일 뿐이다. 과학자에게 100% 완벽한 이론은 없다. 더 좋은 이론과 덜 좋은 이론이 있을 뿐이다.옳고 그름만으로 생각하기보다는 합리적으로 의심하고 끊임없이 더 좋은 방향으로 수정하며 생각하는 사고법을 ‘과학 리터러시’라고 부른다. 저자는 과학자뿐 아니라 대중에게도 과학 ... ...
- [한페이지 뉴스] ‘별의 요람’ 위치는 우리은하 나선팔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별의 요람이 고리 모양으로 형성돼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지배적이었다”며 “이런 이론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19-1874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어떤 관계가 있나요?빅데이터, 기계학습, 통계 지식을 알아야 해요. 그런데 AI 분야의 이론은 현재 쓰는 동시에 한창 개발 중인 분야여서 연구자들이 여러 기술을 인터넷에 공개했어요. 수학의 기초 지식이 탄탄하면 전공하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죠. 결국 중요한 건 어떻게 응용하고 발전시키냐예요.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기준으로 공기 중에서 소리의 속도는 약 346.5m/s다. 노이즈 캔슬링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이론적으로 0.03~ 0.06ms(밀리초·1ms는 1000분의 1초) 안에 DSP가 소리를 듣고 파형을 분석해 역파동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이어캡 두께를 음속으로 나누면 된다). 그런데 실제로 노이즈 캔슬링 제품의 ...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모형이 고려하는 요인은 아래와 같아.이 요인들은 모두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든 이론을 반영한 수식으로 나타내. 그 수식들을 모두 컴퓨터의 언어로 옮겨 만들지. 예를 들어, 대기와 해양의 운동을 기술하는 방정식의 기본형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이야. 비선형 방정식으로 뉴턴 제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대학원에 진학했습니다. 그리고 박사학위를 딴 뒤에는 이론적이고 학문적인 것보다는 실제적인 연구를 하고 싶어서 기업에 취직해 연구하게 됐어요. 생명과학 분야의 기업을 생각했던 것은 아니고 우연히 제안을 받아서 일하기 시작했죠. 수학은 분야에 얽매이지 않기 ... ...
- [주니어폴리매스] 복잡한 계산을 간단하게! [+{코딩수학}_]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코딩으로 정복할 수학 개념은 ‘네트워크’입니다. 네트워크는 ‘그래프 이론’ 분야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점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보통의 그래프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요.일반적인 그래프에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은 첫째로 변에 화살표를 표시해 방향 정보를 담은 ‘유향 ... ...
- [수학기자의 책장] 수학을 즐기게 만드는 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수학대중화상을 받은 아드리안 파엔자의 말입니다. 복잡한 수학 이론을 구구절절 설명하는 것보다 흥미로운 소재를 통해 수학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라는 뜻이죠.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하는 저자인 김종락 서강대 수학과 교수는 ‘보드게임’으로 수학의 즐거움을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