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미션 임파서블, 펄펄 끓는 태양을 탐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션 임파서블, 펄펄 끓는 태양을 탐사하라!Part 1. [탐사일지] 태양 탐사는 계속된다!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폭발하면서 생긴 열이 코로나로 모이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게다가 나노플레어는 1초당 수백만 번이나 일어나요. 수많은 나노플레어들이 폭발해 모인 열로 코로나의 온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는 거예요.서울대학교 천문학부 이정우 교수는 “현재 과학자들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보다는 두 ... ...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계산과 수많은 실험을 통해 물의 양을 정해요. 보통 깔때기 안으로 흘려보내는 물의 양은 1초당 450L 정도랍니다. # “야호~, 시원~하다!”오늘 물놀이는 정말 즐거웠어. 다 안전 수칙을 지켰기 때문이지. 안전하고 즐거운 여름을 위해 친구들도 꼭 안전 수칙을 지켜 줘~ ...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겪었답니다.가장 최근에 발생한 태양폭풍은 2013년 10월 말 부터 11월 초에 일어났어요. 이때 태양을 관측하던 SOHO 위성이 고장 나고, 많은 우주선들이 손상을 입었어요.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비행사들도 방사선을 피해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해야 했지요.이처럼 태양폭풍은 ... ...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 염소는 옷의 얼룩을 지우는 표백제나 청소를 할 때 쓰는 제품에 사용된다.염소는 1900년대 초반에 식수를 살균하는 데 사용되었어요. 그리고 1920년 대에 수영장 물을 깨끗하게 하는 데에도 사용되기 시작했지요. 염소가 물속의 모든 균을 없애는 건 아니지만, 살균성과 경제성이 좋아서 지금도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공룡은 스테고사우루스지요.스테고사우루스는 중생대 쥐라기 후기(1억 5000만 년 전~1억 5500만 년 전)에 살았어요. 몸 길이는 최대 9m, 몸무게는 2t으로, 검룡류 중에서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해요. 반면 몸 크기에 비해서 머리와 뇌의 크기는 매우 작아요. 그래서 지능이 낮은 공룡으로도 알려져 있지요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크기 3m, 무게 685kg의 파커 솔라 프로브는 2018년 7월 31일부터 8월 19일 사이에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에요. 최초로 태양 표면에 640만 km 이내로 접근해 코로나 영역까지 탐사할 계획이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그게 뭐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 ...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게 좋아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싼 배설물에서 씨앗을 수확하려고 했지요.하지만 아르간 나무의 씨앗은 길이 2.2cm, 폭 1.5cm로 큰 편에 속해요. 염소의 소화기관을 지나 배설되기에는 너무 크지요. 그래서 우리는 열매를 먹다가 씨앗을 침과 함께 뱉어낸답니다.그럼 씨앗의 크기에 따라 소화 과정이 다르니?네. 스페인 도냐나 생물학 ... ...
이전6646656666676686696706716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