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프로젝트에 참가할 수 있어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마누 프라카시 교수팀은 지난 해 11월 시민들이 모기 소리를 휴대전화로 녹음해서 보내 주면, 이를 분석해 전세계 어느 곳에서 어떤 종류의 모기가 살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시민과학을 시작했어요.모기는 날아다닐 때 ‘앵’ 소리를 내는데, 종에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건물이 지어진 이후, 지금은 수백 개의 종이 기둥으로 거대한 건물까지 짓는답니다.◀ 2001년 인도에 지어진 종이 기둥 집.종이 기둥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다 쓴 뒤 다시 재활용할 수도 있어요. 또한 저렴하게 건물을 지을 수도 있지요. 반 시게루는 이런 장점들을 ... ...
- Part 5. 돌돌 말아서 척! 종이로 사람의 몸속을 그려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뼈의 모양과 색이 멋지다고 생각했죠. 그때부터 사람의 몸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해서 2010년엔 본격적으로 해부학을 배우기도 했답니다. 리사 닐슨은 자신이 느꼈던 몸의 아름다움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어서 이 작업을 시작했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몸속을 보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이 얼룩날개모기 3종이 자손을 낳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변형시킨 뒤, 아프리카에 풀면 11세대 만에 모두 불임 모기로 바꿀 수 있다고 밝혔어요. 유전자 변형 모기를 야생 모기와 교배시켜 후손을 불임모기로 만들면, 이 불임모기들이 점점 많아져 결국 멸종에 이른다는 거예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얻어요. 이때 날개는 몸에 밀착시켜서 저항을 줄이지요. 멀리까지 이동하지 않고 반경 1km 내에서 먹이를 사냥한답니다.하지만 바다에 사는 다른 동물처럼 방수 능력이 있는 털을 가지고 있지는 않아요. 깃털이 물에 잘 젖기 때문에 바닷물에서 나오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깃털을 말려야 해요. ... ...
- Part 1. [탐사일지] 태양 탐사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파이어니어 5호’가 최초의 태양 탐사선이에요. 그리고 NASA는 1965년부터 1968년까지 1년 간격으로 파이어니어 6, 7, 8, 9호를 태양에 보내서 본격적으로 태양 탐사를 시작했어요. 이후 유럽우주국(ESA)과 일본 등 여러 나라들이 태양 탐사에 나서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션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솔라 프로브는 태양 표면의 640만km 지점까지 날아가요. 이 수치는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1m 떨어져 있다고 가정했을 때, 태양에서 4cm 떨어진 곳까지 가는 거랍니다.탐사선은 이렇게 가까운 거리에서 태양의 활동과 태양에서 나오는 물질을 측정할 거예요. 이를 통해 태양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 ...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이 고무판은 0.5kg 정도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접착력을 발휘했답니다. 또, 1만 번 이상 물체에 붙였다가 떼어내도 그 힘을 유지했지요.연구를 이끈 방창현 교수는 “사람 피부를 포함해 다양한 표면에 잘 붙기 때문에 의료용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먹이를 먹는 모습이 실감 나는 육식 곤충이 좋아요. 머리가 180° 돌아가고, 5만 분의 1초라는 엄청난 속도로 먹이를 낚아채는 사마귀는 대원들에게 꼭 소개하고 싶어요. 지난 3월에 채집한 사마귀가 알집에서 부화하는 모습도 직접 관찰했답니다.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해 보니 어떤 점이 좋나요?곤충 ... ...
이전6636646656666676686696706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