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 주는 생생한 사막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생각보다 다양하죠? 제가 다녀온 서호주처럼 돌과 바위, 모래로 이루어진 사막 외에도 1년 내내 땅이 얼어붙어 있는 사막도 있어요.”작가님은 서호주 외에도 미국 그랜드캐니언, 멕시코 치첸이트사의 피라미드 등 세계 여러 나라를 다니셨어요. 여행을 다니며 오감으로 느낀 것을 바탕으로 총 17권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블럭과 코딩을 연결하면 우주 관제소가 뚝딱! 다두블럭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가만히 놓여 있는 블럭은 조금 심심하게 느껴져요. 그런데 이 블럭에 코딩이 연결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블럭과 코딩의 조합으로 여러 가지 신기한 물건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섭섭박사님과 함께 다두블럭으로 상상력 가득한 블럭 작품들을 만들어 볼까요?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사람이 오랜 시간 동안 탐사하기가 어려웠어요. 물속에서는 1m를 내려갈 때마다 압력이 1기압씩 높아지는데, 90m 깊이에서는 사람이 느끼는 압력이 무려 10기압까지 높아지거든요. 배 안에 설치한 조종실에서는 오션원의 팔과 비슷하게 생긴 로봇팔 ●햅틱 장치로 오션원의 팔 움직임을 직접 조절할 ... ...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실제로 지구 온난화 때문에 북극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제트기류의 속도가 20년 전에 비해 10~15% 가량 느려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그 결과, 제트기류와 함께 움직이던 공기 덩어리들도 천천히 이동하게 됐답니다. 이렇게 공기 덩어리가 한 자리에 정체된 현상을 ‘블로킹 현상’이라고 불러요.블로킹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발사체의 터미널, 나로우주센터“2013년 1월 30일, 이곳에선 환호성이 터져 나왔어요.”기자단 친구들은 ‘출입제한구역’이란 푯말을 지나 발사통제동을 가장 먼저 방문했어요. 나로우주센터 이정원 과학관 운영 팀장은 그곳에서 나로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던 순간의 기쁨을 떠올리며 설명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시속 130.63km로 언덕을 내려가 기네스북 신기록을 세웠지요.“1, 2, 3, …, 9초”미션카드를 본 오로라는 번개가 치고 천둥 소리가 울리기까지 시간을 잰 뒤 말했어요.“번개가 치고 천둥소리가 울리기까지 9초, 소리의 속력인 340m/s를 곱하면 우리 위치에서 천둥이 친 장소까지의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시험해 보는 거예요. 작년 12월에 완성된 중작업용 수중건설로봇은 지난 3월에 이곳에서 1차 수조 테스트를 마쳤답니다.수중건설로봇은 수중로봇 중에서도 개발하기가 가장 까다로워요. 나사를 조이고 플러그를 끼우는 등 정확하게 힘과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일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주하는 거야?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교 연구팀은 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가 연주한 131곡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이 새가 연주하는 곡은 개체마다 자신만의 박자를 갖고 있었지요. 연주할 때마다 곡이 조금씩 달라지긴 했지만, 그 안에는 항상 반복되는 박자가 있었답니다.또 연구팀은 7년간의 추적 ... ...
- 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Part 5. 돌돌 말아서 척! 종이로 사람의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눌러도 좁은 면적에 힘이 집중돼 큰 압력이 된답니다. 손가락이 종이에 닿는 부분이 지름 1cm의 원이라고 가정하면, 종이 모서리를 누르는 압력은 종이 전체를 눌렀을 때보다 약 80배나 커지지요.손가락으로 종이 모서리를 문지르는 행동도 종이에 손을 베는 원인 중 하나예요. 종이 모서리를 문지르면 ... ...
이전6616626636646656666676686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