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韓-美 첫 코로나 관측 성공..."우리의 실력 NASA에 각인시켰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분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연한 책임연구원은 “코로나그래프 관측 중 지상
망원경
과 일본 관측위성 등을 이용해 동시에 관측했다”며 “이들 자료를 분석하는 일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NASA와의 협력 연구는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김 책임연구원은 “개발한 코로나그래프를 개선해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
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중력이 균형을 맞추는 ‘라그랑주 L1’ 포인트에 네오캠을 발사할 예정이다. 적외선
망원경
이 제대로 성능을 내는 데 필요한 냉매가 없어도 될 정도로 온도가 낮은 곳이다. 문 책임연구원은 “네오캠이 라그랑주 L1점에 놓이면 지구 공전 궤도보다 안쪽을 공전하는 소행성들을 포함해 어두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바쳤다. 이때 만들고 있던 분광기에는 엘로디(Elodie)라는 이름이 붙었다. 엘로디는 1994년
망원경
에 설치됐다. 이 시기는 외계행성 분야의 암흑기였다. 마요르와 쿠엘로보다 먼저 관측과 연구를 시작했던 다른 천문학자들이 외계행성은 현재 기술로 관측할 수 있는 곳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종료했고 현재는 NASA의 새 행성사냥꾼
망원경
‘테스’에 임무를 물려준 상태다. 두
망원경
은 행성의 밝기 변화를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다. 하지만 지구에서 관측해 행성을 찾을 때는 별의 밝기보다 정밀도가 높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찾는다. 최근에는 외계행성 발견을 넘어 생명체가 살 수 ... ...
토성 한꺼번에 위성 20개 발견, 목성 제치고 최다 위성 보유 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위성을 거느린 행성이 토성으로 바뀐 것이다. 없던 위성이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망원경
이 발달할수록 작은 천체가 발견되기 쉬워지면서 기존에 발견되지 못한 위성이 발견되고 있어 토성과 목성의 위성 수는 계속해 늘어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토성의 20개 위성 중 2개는 이누이트 ... ...
쌍성계 형성 비밀 밝혀준 '프레첼' 모양 가스·먼지 원반
연합뉴스
l
2019.10.08
펠리페 알베스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설치된 전파
망원경
배열인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집합체(ALMA)'를 이용해 두 개의 원시별로 구성된 쌍성계의 내부 구조를 처음으로 자세히 밝혀냈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600~700광년 떨어진 '파이프성운' ... ...
"우리은하 중심부, 생각보다 활동적일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7일 천체물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팀은 “은하 중심부에 위치한 태양 420만 배 질량의 초대질량블랙홀 사수자리A별 주변에서 강한 폭발이 300만 년 전에 일어났고, 그 여파로 ... ...
'어미별과 아기행성의 이름을 지어주세요'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2015년 이병철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이 경북 영천시 보현산천문대에서 1.8m
망원경
으로 발견한 첫 번째 외계행성이다. 어미별은 북쪽에 떠 있어 매일 관측할 수 있고 태양보다 수명이 더 길다. 이 책임연구원은 이 별을 약 5년 동안 관측해 왔다. 어미별과 외계행성에 이름을 붙이고 싶은 ... ...
"태양계 끝 어둠 속 제9 행성은 볼링공 크기 원시 블랙홀"
연합뉴스
l
2019.10.01
연구팀은 이에 따라 2008년부터 지구궤도를 돌며 감마선을 관측해온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
자료를 통해 이를 확인할 계획이다. 카이퍼벨트 천체(KBO) 제9 행성의 존재를 연구해온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캘텍)의 행성과학 조교수 콘스탄틴 바티긴 박사는 IT매체 '기즈모도'와의 이메일에서 ... ...
행성사냥꾼 테스, 블랙홀이 별 국수가락 뽑듯 빨아들이는 장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교란 사건은 올해 1월 29일 초신성 관측 국제네트워크 ‘초신성 전천 자동탐사(ASASSN)’
망원경
이 처음 관측해 ‘ASASSN-19bt’란 이름이 붙었다. 조석 교란으로 발생하는 빛과 별의 폭발인 초신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빛은 처음 관측할 땐 구별이 어렵다. 조석 교란은 초신성과 달리 빛의 밝기가 일정하게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