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의 미스터리 '코로나 가열 현상' 유력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전자기파와 비슷한 파가 나오기도 한다. 연구단은 미국 뉴멕시코주에 설치된 던 태양
망원경
의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해 2016년 7월 태양 표면에 발생한 흑점의 코로나 저층부를 상세히 관측했다. 제스 교수는 “태양 대기 안에서는 (고온 환경에서) 각종 원소가 형성되는데, 분광기를 통해 이들의 ... ...
[주말N수학]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
수학동아
l
2019.11.30
별보다 암흑물질이 10배 이상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우선 큰
망원경
으로 왜소은하를 관측했습니다. 왜소은하에서 나오는 빛을 통해 은하 속에 얼마나 많은 별이 들어 있는지 계산했습니다. 그런 뒤 왜소은하의 움직임과 주변 천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왜소은하가 미치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관측하면 갈릴레이가 관측한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납득시킬 수 있었다. 갈릴레이가
망원경
으로 하늘을 관측한 결과는 한 마디로 코페르니쿠스가 옳다는 것이었다. 예컨대 갈릴레이는 금성의 상이 초승달, 반달, 보름달 등과 같은 모습으로 변하는 것을 관측했다. 이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 ...
달 궤도선 NASA측 제안 긍정적 검토…기술적 어려움 극복이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가장 큰 문제가 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NASA는 자체 운영 중인 심우주네트워크의 70m
망원경
을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이 관계자는 "통신에서도 기존에 예상되던 어려움 상당수가 해소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번에 NASA가 제안한 궤도를 ... ...
운석에서 RNA 만드는 '당'성분 발견…목성·토성 위성 생명체 존재 가능성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유로파에 전기가 통하는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했고, 2013년에는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유로파 대기에서 물 분자를 구성하는 수소와 산소 원자를 포착한 적은 있다. 생명체에 필수적인 메탄이 풍부해 활발한 탐사가 진행중인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관한 연구도 나왔다. 로살리 로페스 ... ...
'우주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 최초로 지상 관측·분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루이즈벨라스코 연구원팀은 나미비아에 설치된 고에너지 스테레오스코프시스템 전파
망원경
(HESS)을 이용해 GRB 180720B를 관측해 이 폭발이 최대 4400억 eV의 에너지를 갖는 광자를 폭발 10시간 뒤부터 방출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 두 감마선 폭발을 분석해 잔유휘광에서 고에너지 광자가 ... ...
"AI에게 우주환경 학습시켰더니 천체 관측시간 확줄고 희미했던 별 뚜렷"
동아사이언스
l
2019.11.15
그 정도가 약해 좋은 영상을 얻으려면 오래 노출시켜야 한다”며 “우리가 허블 우주
망원경
과 같은 장비에서 찍은 좋은 영상은 다 수십일 이상 노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AI를 학습시키면 한 장의 영상을 통해서도 오래 간 노출한 것과 같은 영상을 얻는다. 문 교수는 “외부은하 탐사하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나이가 13세, 12세 되던 때였다. 맏딸인 비르지니아의 수도명은 마리아 첼레스테였다.
망원경
으로 하늘 보기를 좋아했던 아버지에 대한 마음이 수도명에도 잘 드러나 있다. 마리아는 일생을 두고 갈릴레오와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현재 120여 통이 남아 있다. 갈릴레오보다 14살 연하였던 마리나 감바는 ... ...
생명체 거주 가능 '골디락스' 행성도 행성 나름
연합뉴스
l
2019.11.13
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허블 우주
망원경
과 앞으로 배치될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WST)은 외계행성의 수증기와 오존 등을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논문 제1저자인 박사과정 연구원 하워드 천은 '우주에 우리만 존재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아직 답을 얻지 못했다면서 ... ...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이 쏘아올린 속도위반 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S5)’를 통해 이 별을 찾았다. 호주의 3.9m 구경의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안
망원경
으로 포착한 뒤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으로 속도를 측정했다. 보통 다른 별보다 10배 이상 빠른 속도인데다, 별의 진행 방향이 은하 중심부를 중심으로 도는 방향이 아니라 바깥 방향(지구 쪽)을 향하고 있어 많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