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무아무아는 인공물 아닌 우주의 자연적 산물"
연합뉴스
l
2019.07.02
있다"면서 "LSST는 태양계를 찾아오는 작은 천체를 찾아내는 능력에서 현재 가진 어떤
망원경
도 능가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이런 새로운 천체를 매년 보게 된다면 그때야 오무아무아가 이상한 것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것인지 알게 될 것"이라면서 "10~20개 정도 새롭게 발견된 뒤에도 ... ...
[인사] 한국천문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 한국천문연구원 △대형
망원경
사업단장 황나래 ...
인류 달 착륙 50돌… 아직도 음모론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지난해 3월 스티븐 호킹 박사 타계, 올해 4월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 ‘사건지평선
망원경
(EHT)’을 통해 이뤄진 인류 최초의 블랙홀 관측 등 상세한 내용을 일러스트레이션을 곁들여 소개했다. 세계 각국은 달 착륙 50주년이 되는 올해 다시 시선을 달로 돌리고 있다. 미국은 최근 유인 달 탐사 계획 ... ...
우리은하가 심장에 ‘막대 구조’ 품은 이유 “은하단 충돌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의 데이터를 이용했다. 슬론 디지털 전천탐사는 2000년부터 미국 뉴멕시코의 2.5m 광학
망원경
으로 은하를 관측하고 있는 대규모 탐사 프로젝트로, 지금까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하늘의 35%에 걸쳐 약 10억 개의 천체를 데이터로 기록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에서 충돌하는 은하 16개를 ... ...
국내연구진 2063년 지구 충돌 위험 소행성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현재 카메라 성능 개선을 위한 유지보수예산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세 대의
망원경
부품을 교체하는 데에는 대략 모두 6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지구 것 아닌 금(金) 출처는 대형 별 초신성 폭발
연합뉴스
l
2019.06.16
상황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2021년 차세대 첨단
망원경
인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WST)'가 배치되면 먼 은하에 있는 컬랩사 슈퍼노바를 자세히 관측해 철보다 무거운 원소의 출처에 관한 이론이 실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시겔 박사는 보도자료를 ... ...
'서식가능지역' 행성도 유독가스로 다세포 생명체 존재 난망
연합뉴스
l
2019.06.12
걸려
망원경
으로만 관측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첨단
망원경
의 배치로 무수히 많이 발견될 외계 행성 중에서 더 자세히 들여다봐야 할 행성을 정하는 기준을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논문 제1저자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박사후 프로그램 연구원인 ... ...
“외계행성 이름을 지어주세요”…IAU 100주년 국제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시작한다. 이번 국제공모전은 전세계인들이 참여한다. IAU는 각 나라에서
망원경
으로 관측 가능한 외계행성과 그 중심별을 나라별로 할당해 이름을 짓도록 했다. 한국은 사자자리의 ‘HD100655’라는 별을 지정받아 이 별을 도는 행성계 이름을 제안할 수 있다. 외계행성은 태양계 밖 우주에 ... ...
119년 전 개기일식 모습, 디지털로 되살아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귀국길에 필름을 도둑맞고 말았다. 일식 촬영을 위해 매스켈라인은 특수 제작한
망원경
어댑터를 카메라에 달아 촬영했다. 이것은 매스켈라인이 남긴 유일한 영화다. 영국에서 빅토리아 여왕이 통치하던 1837년부터 1901년까지의 시기는 기술과 마술이 공존하던 시기다. 당시는 마술쇼가 인기를 끌 ... ...
일반상대성이론 검증 100년…개기일식, 우주에 대한 이해를 바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취사 선택하거나 조작한 것으로 비쳐질 수 있었다. 하지만 소브랄의 관측 결과는
망원경
의 이상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더 이상의 논란은 나오지 않고 있다. 1919년 영국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일식 순간 주변에서 촬영할 수 있던 별들의 위치를 평소와 비교해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시공간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