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존재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렇지 않다면 해당 인구 집단에서 무려 1000배나 높은
돌연변이
가 계속 일어난다는 뜻인데,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리고 앨리슨은 겸상 적혈구증의 지리적 분포가 말라리아의 지리적 분포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물론 당시에는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었다. ... ...
난치성 뇌전증 진단 정확도 30%에서 100%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KAIST는 이정호(왼쪽)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김동석∙강훈철 연세대 의료원 교수 공동연구팀이 난치성 뇌전증의 원인
돌연변이
를 정확하게 분석하 ... 발견한 체세포성
돌연변이
이다. 총 232명의 환자에서 시행된 유전체 분석결과 8개의 유전자에서만
돌연변이
가 빈발함을 확인했다. KAIST 제공 ... ...
"항암 유전자 TP53
돌연변이
, 암 치료 특히 어렵게 만들어"
연합뉴스
l
2019.08.01
끌었다. TP53의
돌연변이
는 유전자 안정성에도 강한 영향을 미쳤다. 예컨대 TP53에
돌연변이
가 생긴 암 종양에선 대부분 다른 종양 억제 유전자까지 손실됐고, 대신 암을 키우는 종양 유전자가 강해졌다. 그동안 TP53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이 정도 숫자의 암 유형을 놓고, 다섯 가지 데이터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당신의 병명은 ‘나노중독증’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못한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라고 설명했다. 이미 존재하고 있던 바이러스가
돌연변이
를 일으켜 기존 치료제가 듣지 않는 신종으로 진화할 수도 있고,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나 에볼라바이러스처럼 원숭이와 침팬지 등 동물 간에만 전염되던 것이 인간에게 전해질 수도 있다. 전염병 ... ...
모기 소리 줄어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생태계를 파괴할 수도 있고 유전자 변형이나 균류를 활용하는 경우 예기치 못한
돌연변이
를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천적을 활용해 생태계를 교란하지 않고도 모기를 퇴치하려는 시도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배연재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모기 유충만을 잡아먹는 ... ...
두산연강학술상에 고현용 KAIST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환자들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뇌전증(간질)의 원인이 태아의 대뇌 신경줄기세포에 생긴
돌연변이
라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매디슨'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소아 뇌종양은 성인 뇌종양에 비해 난치성 뇌전증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 ...
예방률 59% 에이즈 백신 임상시험 돌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결국 다른 질병을 이기지 못한 채 사망에 이르는 질병이다. HIV는 주요 유전물질이 RNA로
돌연변이
가 잦아 치료가 어려운 바이러스 중 하나로 꼽혀왔다. 백신 개발도 더뎠다. 이런 어려움 때문에 에이즈 환자 수를 줄이려는 세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환자 수 감소는 정체돼 있었다. 국제연합(UN) ... ...
세포의 ‘바코드’ 읽어 암세포 천적 면역세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모여 바코드처럼 보인다. B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는 능력과 기능에 따라 유전정보와
돌연변이
발생 비율 등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마틴 스미스 제공 암세포를 정확하게 공격하는 면역세포를 ‘바코드’를 읽어 추려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암치료에 유용한 면역세포를 빠르고 정확히 찾아 ... ...
후천적으로 발생한 뇌
돌연변이
가 알츠하이머 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발생한 유전자나 유전자 조합인 ‘체성 유전변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또 뇌 체성
돌연변이
가 신경섬유다발 형성을 비정상적으로 증가시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공동1저자로 함께 연구에 참여한 이준학 KISTI 선임연구원은 “뇌 체성 유전변이 원인을 분석한 결과 알츠하이머를 유발한 22.2%의 뇌 ... ...
루게릭병·조현병 원인은 수백만 년 전 인류조상 몸에 침투한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DNA를 만드는 레트로바이러스가 대부분이다. 인간 내생 바이러스 유전자는 수천 년간
돌연변이
가 무수히 발생하면서 인간 DNA에 흔적처럼 남았다. 다른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경쟁적으로 막아 오히려 사람이 위험한 감염병에 걸리지 않게 보호한다고 알려졌으며, 인간에게 어떤 해를 끼치는지는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