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4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면역 위해 유전자 편집한 아기, 사망률 21%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지난해 11월 허젠쿠이 난팡과기대 교수가 유튜브를 통해 유전자 편집 기술로 에이즈에 면역력을 가진 '디자이너베이비'를 탄생시켰다고 밝혔다. 유튜브 제 ... 알지 못하는데도 이를 도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며 “평균적으로 볼 때
돌연변이
를 가진 것이 더 나빴다”고 말했다 ... ...
염색체가 ‘스토커 단백질’ 만나면 암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할 때 헤어지지 못하는 스토커 단백질이 되는 셈이다. 스토커 단백질이 염색체에
돌연변이
를 일으키고 암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스토커 단백질이 태어나는 이유를 다른 단백질의 기능에서 찾았다. 먼저 DNA와 PCNA의 분리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단백질 후보를 선정한 ... ...
“실내 라돈 노출이 폐암 환자
돌연변이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폐암 환자의 치료를 어렵게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라돈 노출에 따른
돌연변이
를 타깃으로 하는 맞춤형 표적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있는 길을 열게 됐다. 주 교수는 "암유전체 전장서열 빅데이터를 통해 폐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
의 양상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며 "흡연과 무관하게 구조 변이를 일으키는 분자를 이해하는 게 다음 연구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12년 폐 선암의 융합유전자를 처음으로 발견하며 ... ...
돌연변이
DNA 찾아 고치는 새로운 효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DNA 복구 시스템이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이 연구성과를 활용해
돌연변이
로 발생하는 암 치료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이 밝혀낸 UdgX와 DNA 간의 공유결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2050년 치매 인구 1억5200만명…"운동만이 최선의 예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5.16
다른, 새로운 유형의 치매를 발견했다. 뇌에서 유전자 발현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돌연변이
가 쌓이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계보건기구(WHO)가 14일(현지시간) '치매 예방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WHO 차원에서 치매 예방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건 처음이다. 그만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생명력 질긴 A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나오나
2019.05.08
아마도 캡시드 단백질의 견고한 구조 때문으로 보인다. 대신 캡시드 단백질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겨 아미노산이 바뀌면 캡시드 구조를 제대로 만들지 못한다. 따라서 표면 구조에 큰 변화가 없어 이를 인식하는 항체가 만들어지면 평생 면역력을 갖게 된다. 바이러스의 입장에서 하나를 얻으면 ... ...
표적 항암치료제 내성문제 해결할 새로운 바이오마커 5종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바이오마커 중 하나인 GNB5를 억제하면 환자의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와 관계없이 세툭시맙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 교수는 “지금껏 GNB5 유전자 조절을 대장암의 조합치료에 활용한 예는 없었다”라며 “암세포가 가지는 약제 내성의 원리를 ... ...
"새 자폐·발달장애 진단법 기존보다 3배 더 정확"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연구에 참여한 환자 중 8.3%(51명)는 아직까지 임상적 의미가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은
돌연변이
가 발견됐다. 16번 염색체의 짧은 팔 부분(단완)의 미세 결실이나 15번 염색체 긴 팔 부분(장완) 중복 등이었다. 연구팀은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71.4%의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 ... ...
알츠하이머와는 다른 새로운 치매 유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세계적인 치매 전문가인 에딘버러대 타라 스파이어존스 교수는 "아직까지 TDP-43의
돌연변이
가 어떤 경로로 증상을 일으키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며 "이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