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8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662명 목숨 앗아간 호주 독감, 북반구도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옮기는 감염질환이다. 이 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고 있는데, RNA는 DNA에 비해
돌연변이
가 잦다. 그만큼 신종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표면에 나 있는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과 뉴라미니데이스(NA 단백질) 수용체의 종류를 보고 바이러스 균주의 이름을 ... ...
뇌 속에서 ‘부작용 없이 살빼는 약’ 실마리 찾았다
2019.10.07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이 발생하고 지나치게 적게 발현하면 거식증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돌연변이
유전자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과 거식증 치료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혁무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은 ‘톤이비피’라는 단백질이 백색 지방 세포의 ... ...
파킨슨병 유발 새 원인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1
ARSA와 파킨슨병이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을 관찰한 결과 ARSA에
돌연변이
가 있을 경우 ARSA가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주요성분인 알파시뉴클린과 결합하면서 비정상적인 단백질 덩어리가 만들어지고 다른 세포로 전이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하지만 정상적인 ARSA는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
2019.09.28
음성인 사람만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과거에는 Rh 양성만 있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돌연변이
로 Rh 음성 여성이 태어났다고 하자. 이 여성은 Rh 양성 남성과 결혼했을 것이다. 세상에는 Rh 양성인 사람만 있기 때문이다. 두 경우 모두 결과는 비극적이다. 이러한 미스터리를 이형접합체 유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결과 이들의 공동조상이 1712년 살았던 바이러스임을 밝혔다. 물론 1712년이라는 연도는
돌연변이
속도를 추정해 통계적으로 분석해 산출한 결과(평균값)일 뿐이지만 아무튼 300여 년 전이라는 말이다. 이는 바이러스가 이 무렵 돼지(또는 이들이 야생화한 멧돼지)와 첫 만남을 가졌고(따라서 ... ...
고혈압·비만 유발하는 '
돌연변이
거식증 유전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발현하면 대사증후군이 발생하고, 지나치게 적게 발현하면 거식증이 발생했다. 또한
돌연변이
유전자 8가지 중에는 놀랍게도 강박장애나 우울증, 불안장애 등 정신질환을 유발하는 것들도 있었다. 브린 교수는 "거식증 환자들은 영양 결핍으로 대사 이상이 생기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 ...
세포 청소부 '자가포식' 선택적 조절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유형도 결정됐다. 연구팀은 효모를 이용해 Atg13 단백질 결합에 관여하는 아미노산
돌연변이
를 유도해 검증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Atg13 결합 구조에 문제가 생기자 세포핵 일부분을 분해하는 자가포식은 나타났지만 Cvt 경로 관련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단백질 4차 구조에 이상이 나타나면 특정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최소한 네 번 이상 독자적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유럽의 백인은 그러한
돌연변이
의 은총을 입지 못했다. 유럽인의 겸상적혈구증 빈도는 아주 낮은 편이다. 그렇다면 사르데냐인은 카르타고인이 몰고 온 말라리아에 속수무책으로 쓰러지기만 했을까? 그렇지는 않았다. 수천 년에 걸친 ... ...
항노화 쌀, 반쪽짜리 무궁화…신품종 개발할 방사선 육종전문가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28일 전라북도 정읍 방사선육종연구센터에서 열린 ‘2019
돌연변이
육종기술 전문가 과정’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밝게 웃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하지만 인간은 두 번째 낫을 만들었다. 바로 자신의 적혈구를 낫 모양으로 만드는
돌연변이
가 일어난 것이다. 세 번째 낫은 문화대혁명이 중국 대륙을 뒤덮던 때, 연구에 쓸 약초를 채집하던 여성 식물학자 투유유의 손에 바로 인류의 세 번째 낫이 들려져 있었다. 2015년 여든다섯 살의 여성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