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d라이브러리
"
생각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3학년도 달라지는 고려대 입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방문 바랍니다.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서류를 볼 때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670명을 선발하는 고려대 입학사정관 전형 학교장추천 전형에서는 포토폴리오를 받지 않습니다. 공인외국어성적이나 각종 교과관련 교외 수상실적 자체를 평가에 반영하지 않고요.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다는 온도 조건이라면, M-왜성 주변에도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
했다. 하버드대 천문학자이자 베르타의 지도교수인 데이빗 샤르보노가 시작한 MEarth 프로젝트가 바로 이것이다. 작고 차가운 항성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중 생명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는 것이다. 이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65일×24시간×3600초를 의미한다. 해상의 평균파주기가 5~10초 정도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생각
해 보면 그 확률은 1.59×10-10~3.17×10-9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5~30억 번의 해양파를 겪을 때 이 중 한 차례 일어날 확률이 있는 정도의 큰 파랑에 견뎌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대비하는 데도 자연의 힘은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통해 과정을 좀더 실감나게 볼 수 있다. http://goo.gl/ZvBok 특징 우주를 설명할 새로운
생각
물리학자들은 다시 한번 오래 전 아인슈타인이 제기했던 ‘우주상수’를 떠올렸다. 먼 천체(초신성) 연구 결과,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사실이 새로 발견된 것이다. 팽창 속도가 점점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구가 태양을 도는 것을 인정한 인류는 이제 태양이 우주의 중심에 있다고 믿었고, 이런
생각
이 다시 200여 년을 지배했다. 지구가 우주의 중심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우주의 중심에 있는 태양을 돈다고 믿어야 안심이 되었나보다. 한 술 더 떠서 많은 사람들이 우리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은하가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유리하다. 학교 수학·과학 활동과 관련된 동아리 활동도 중요하다. 아울러 지원자의
생각
과 가치관이 드러나는 학습계획서가 눈에 띈다. 서류평가에 대비해 수학 및 과학 등에 자신의 영재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각종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면접에서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과학과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머리를 맞대면 충분히 가능한 얘기”라고 강조했다.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횡단하는 일,
생각
보다 그리 멀지 않은 미래의 일이다. 해저 침매터널의 모식도. 부산과 거제를 잇는 거가대교는 일부 구간이 세계 최장 침매터널로 이뤄져 있다.일본 세이칸터널 내부 모습. 건설 중 방수에 실패해 작업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람이라면 스트레스성 장염이라는 진단을 받아본 적이 있을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더
생각
해보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스트레스는 머리가 받는데 왜 애꿎은 장에 염증이 생기는 걸까.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이유미국 장내염증질병센터가 지난 2009년 발표한 논문을 보면 이 문제에 대한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풀기 위해 도전한다.과학자들은 또다른 우주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생각
해내고 증거를 찾고 크기와 모양을 계산한다. 그안에 사는 생명체의 존재까지 추론한다.필요하다면 인류가 그 우주에 방문하거나, 이주할 가능성도 따져본다. 물론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우주 밖’으로 가는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누군가가 자신과 자신의 우주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을까.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
해 보면, 우리는 고차원적인 곳에 있는 ‘누군가’가 우리 우주를 포함한 시뮬레이션 다중우주(또는 궁극적 다중우주)를 만들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 질문은 다음 질문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