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위성 오작동 유발하는 태양 플레어 예측 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SDO가 촬영한 강력한 태양 플레어 이미지를 표지에 담았다. 태양 플레어는 태양
표면
자기 에너지의 갑작스런 방출로 인한 대규모 폭발로 생긴다. 2012년 3월 당시 한국천문연구원은 3월 7일 강력한 태양 자기 폭발이 발생해 X급 태양 플레어가 발생, 8일 오후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에 도달할 것으로 ... ...
영장류 실험서 코로나19 항체 형성·감염 방어 효과 잇따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개발 중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인체세포에 감염될 때 인체세포
표면
의 ‘문고리’에 해당하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을 인식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전체를 항원으로 만든다. 연구팀은 24마리의 붉은털원숭이(레서스 마카크)를 세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에게는 백신을 ... ...
“日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코로나19 공기 감염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100만분의 1미터)보다 작은 크기의 비말의 부유 상태, 더 큰 크기의 비말이 물체
표면
이나 사람들의 눈·코·입에 내려앉을 확률의 기여도 등도 고려됐다. 2만회 가량 진행한 시뮬레이션 중 130건은 실제로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발생한 전파 진행 양상을 재현했다. 연구진은 이 중에서 가장 ... ...
[백신 업데이트] 코로나19 백신확보 치열한 영국, 사노피·GSK와도 공급계약
연합뉴스
l
2020.07.30
성공 시 내년 상반기 사용승인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노피는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
에서 발견된 단백질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설계된 자체개발 'S-프로틴 코비드-19'라는 항원 기술을, GSK는 면역반응을 강화하고 더 오래가게끔 하는 면역증강제 기술을 적용해 코로나19 백신을 함께 개발하고 ... ...
슈퍼컴으로 코로나19 잡는 인공 단백질 설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2는 스파이크 단백질 가운데 ‘수용체결합부위(RBD)’라는 부위를 이용해 인체세포의
표면
에 있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와 결합하면서 인체 세포 침투를 시작한다. 세계의 많은 연구팀은 RBD와 ACE2의 결합을 막는 물질을 개발하면 코로나19를 예방하는 백신을 만들거나 치료하는 치료제가 ... ...
코로나19 바이러스, 박쥐 몸 속에서 40~70년 전 생겨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친척’ 격이란 것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조상을 갖는 바이러스들은
표면
에 달린 스파이크 단백질에 인간 세포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을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BD를 이용해 인간 세포와 결합한 다음 유전물질을 주입해 자신을 복제한다. 이 ... ...
정은경 "노약자 소독액 독성에 취약. 소독 후 잘 닦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표면
전체 바이러스를 닦기 위해서는 분무로만 그치지 않고 적어도 손이 닿는 부위
표면
을 닦아내야 소독액이 잘 번지고 제대로 효과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소독액 자체의 독성에 대한 주의도 당부했다. 아이들이나 고령층이 만지는 부분에 묻은 소독액이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 ...
금세기말 아시아엔 큰 비 많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수온이 수개월간 높은 ‘엘니뇨’ 등을 비교한 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
표면
의 온도 상승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꼽혔다. 연구팀은 “2018년과 2020년 일본 서부와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홍수의 사례에서 보듯 아시아에서 몬순 계절의 영향은 매우 파괴적이다”라며 “지역의 특성을 파악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무거워져서 그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섰다고 가정해 보자. 달에 비친 태양빛은 달
표면
에서 반사돼 지구까지 오지 못할 것이다. 그 결과 달은 항상 검게 보인다. 미첼은 이런 천체를 '어둑별(dark star)'라 불렀다(1783년). 어둑별의 현대적인 버전이 바로 블랙홀이다. 블랙홀은 현대적인 중력이론인 ... ...
코로나바이러스의 침투 무기 '스파이크 단백질', 모양 바꿔 면역 회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2
중화하는 능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구조가 달라진 형태는 스파이크
표면
에 면역 반응을 피할 수 있는 다당류 분자가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첸 교수는 “면역계를 자극해 스파이크 단백질용 항체를 만드는 현재의 백신들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두가지 형태 때문에 효능이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