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노약자가 늦게 지나갈 경우 신호를 연장합니다. 그럼 신호등 옆에 숫자가 3, 2, 1 이후에도 1이 몇 번 더 반복해 깜박거리다가 신호가 빨간 불로 바뀐답니다 ... ...
- [가상 인터뷰] 기저귀로 집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바트 드완커 교수팀은 집을 짓는 데 가장 알맞은 기저귀 분쇄물의 혼합 비율을 찾았어. 1층짜리 주택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속 모래의 27%를 기저귀 분쇄물로 대체할 수 있었고, 3층짜리 집은 콘크리트 속 모래의 10%를 대체할 수 있었지. 바트 드완커 교수팀은 “인도네시아에서 기저귀가 섞인 ... ...
- [기획] 해저 5000m 아래 보물찾기, 바다생물은 안전할까? 심해 채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해저 5000m 아래 보물찾기, 바다생물은 안전할까? 심해 채굴Part1. 전 세계는 보물 찾아 삼만리Part2. 심해의 돌 속엔 배터리가 있다?!Part3.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람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쉴 새 없이 눈을 깜빡여요. 성인은 1분에 약 20회, 하루 1만 5000회 정도 눈을 깜빡이지요. 이렇게 무의식적으로 부지런히 눈을 깜빡이는 이유는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예요. 눈을 깜빡일 때마다 눈물이 분비돼 빛과 먼지, 티끌 등으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거든요. 그런데 ... ...
- 무작위하다는 강력한 믿음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무엇보다 동전 던지기는 ‘무작위’로 결과가 나온다는 강력한 믿음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확률을 설명할 때 동전 던지기는 빠지지 ... 4000번 던져 1만 2012번 뒷면이 나온다는 사실을, 20세기엔 영국 수학자 존 케리치가 동전을 1만 번 던져 5067번 앞면이 나온다는 결과를 얻었다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카드는 의미가 없어져요. 모두 50 이상의 숫자를 뽑는다면 나누기 카드를 썼을 때 무조건 1이 나오겠죠. 반대로 이 카드를 썼는데 의미 있는 숫자가 나왔다면, 운이 좋았다고 볼 수 있어요. 두 수의 차이가 엄청나게 크다는 의미니까요. 가장 수학적이라고 입을 모은양팔 저울 안정현 제대로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하지요. 2단계. 중학교 1, 2학년 내용도 다시 보자! 소집면접은 서류 마감이 끝나고 1달 정도 열심히 준비했어요. 주어진 문제를 풀고 면접관 앞에서 풀이 과정을 설명하는 면접이었어요. 과학고 20곳 중에 몇몇은 홈페이지에 기출 문제를 올려놨어요. 그곳에서 기출 문제를 출력해서 풀어봤어요.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결과가 나왔다. 10월 23일, 케이틀린 노턴 영국 남극연구소(BAS)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21세기 아문센해의 빙붕이 녹는 속도가 20세기보다 3배 빨라질 것이라는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했다. 이는 파리 협정에서 결의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경우에도 큰 차이가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 있는 유전체를 얻는 게 좋습니다.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가 한 예입니다.” 10월 31일, 화상 인터뷰로 만난 유동안 미국 워싱턴대 유전체학과 연구원은 현재 ‘영장류 유전체 프로젝트(PGP・Primate Genome Project)’에서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의 유전체를 분석하고 있다. PGP에서 목표로 하는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말했다. 일반 모기의 크기는 보통 4~6mm 정도니, 등에모기과는 모기과의 약 3분의 1 크기인 셈이다. 방충망도 자유롭게 드나드는 작은 곤충을 눈으로 쫓긴 어렵다. 이 연구원은 “워낙 작으니 물리고 있어도 모른다” 며 “물린 후에 자연스럽게 옷깃에 쓸리다 보니 긁은 것처럼 염증이 생기고 더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