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e
roma
롬
d라이브러리
"
로마
"(으)로 총 6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화성은 어떤별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않고, 불길한 위압감을 주기때문에 일찌기 중국에선 형혹(熒惑)이라 불렀고, 서양에선
로마
신화에 나오는 피를 좋아하고 투쟁을 일삼았던 군신 마르스(희랍신화의 아레스)의 행동과 똑같다고 하여 이 별을 마르스(Mars)라 이름을 지었던 것이다.대접근시에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화성은 크게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날 혹은 밤에만 물시계를 사용하기는
로마
인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로마
인들에게 이 시계의 사용상의 편리함과 시간측정의 정확성이 인지되면서 이들의 생활에도 필수적이고 보편적인 대중적 시계로서 물시계가 자리잡아나갔다.근대에 접어들기 이전 그 장구한 세월에 걸친 ... ...
AIDS바이러스에 유사한 신종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불리우는 희귀한 림프종환자에게만 나타난다. '뉴 사이언티스트'지의 보도에 따르면
로마
대학의 학자들이 림프구에 레트로바이러스가 침입한 환자 7명을 발견하고 테스트했는데 HTLV-1, HTLV-2, 그리고 HIV에는 감염되지않은 네가티브반응을 나타냈다는것. 이 바이러스에 HTLV-5라는 이름이 붙여진것은 ... ...
극지(極地)의 장관 오로라 AURORA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부근에서 가장 잘 볼수있는 초고층 대기의 발광 현상을 극광이라고 한다. 오로라는 원래
로마
신화속의 새벽의여신의 이름인데 프랑스의 물리학자 '가상디'(Gassendi)가 1621년 그의 저서 '물리학'에서 극광을 '오로라·보레알리스'(북방의 새벽)라고 부른 것이 극광을 오로라로 부르게 된 시초다 ... ...
식물의 유전자원 지키는 IBPGR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IBPGR·본부
로마
)는 자원절대량이 많은 중공의 식물유전자원 보존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북경에 사무소를 개설하기로 했다. 바이오테크널러지의 발전으로 각종의 품종개량이 진전되고 농업생산의 획일화로 대량으로 효율좋게 수확되는 품종만 재배되어 재래품종은 점점 사라지고있다. 거기다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미국인의 이제까지의 일상을 온통 뒤흔들면서도 태양력은 수용되어진 것이다.
로마
에서 개정했다는 이유때문에 받아들이기를 꺼려했던 동방 그리스 정교 교회도, 청교도의 나라 영국도, 그의 식민지 초기에는 수용을 거부했고 그 수용의 과정에서 많은 혼란을 불러 일으켰지만 사회가 발전하면서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로렌츠는 이전의 그 누구 보다도 훌륭하게 레일리·진즈 법칙을 이론적으로 유도한 후
로마
에서 행해진 일련의 강연에서 빈·를랑크의 복사식과 레일리·진즈의 복사식을 비교하면서 레일리·진즈의 이론이 훨씬 더 우수하다고 주장했었다. 이 주장은 과학계에 널리 출판되었는데, 이것은 그때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로마
의 거리를 행차할 때, 미리 사프란 가루를 뿌려놓도록 명령했다고 한다. 또
로마
의 부자들은 자기집 방이나 회의실 바닥에 금방 따온 잇꽃을 깔아 놓았다고 전해진다.사프란 가루는 독특한 맛을 가지고 있어 요리에도 쓰인다. 최근까지 수프나 갖가지 요리의 조미료로 쓰이고 있다. 또 케익이나 ... ...
현대문명의 사생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일수없고 따라서 사용자의 지시에 충실한 '
로마
병정'이어야 한다.그러나 컴퓨터가
로마
의 병정들과 다른 점이 한가지 있다면 그것은 컴퓨터가 자기능력밖의 일이거나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명령을 받았을때 결연히 이를거부한다는 점이다. 일종의 항명(抗命)능력을 갖춘 셈이다.이같은 컴퓨터의 ... ...
PART Ⅲ 곰팡이·버섯류 유용물질 생산하는 자연계 청소부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독버섯, 상식의 위험성 곰팡이류 가운데 가장 커 눈에 잘 띄는 것이 버섯이다. 그리스
로마
인들은 버섯의 독특한 향미를 즐겨 '신의 음식'이라고 찬미했고 중국인들은 버섯을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다루어 왔다. 이처럼 식용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돼온 버섯은 동시에 독버섯으로 공포의 대상이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