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말해 학생들의 박수를 받았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결과에 관계없이 여러분 모두가 챔피언”이라며 “사이언스 챌린지는 앞으로 과학에 재능 있는 청소년들에게 꿈을 이뤄가는 도전의 무대를 제공하고 창의성을 세계로 펼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참가 학생들에게 ...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것처럼 우리는 세포 안에 이미 존재하는 나노 기계를 들먹일 수 있다.”물론 두 책 모두 비판할 대목은 있다. 당장 이 책을 교본 삼아 의식을 백업하거나 유전자처럼 복제하는 단백질 기계를 만들 수는 없다. 방법을 제시하는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측할 수 없는 부작용은 더 근본적인 문제다. ...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유산균 조합물을 먹였다. 그 결과 아토피 피부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진 쥐도 모두 나았다. 면역조절 T세포가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염증을 가라앉힌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것이다. 임 교수는 “장 속 면역조절 T세포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월 ...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제출한 스케줄표로 빡빡하다. 공부시간, 연구시간 외에도 책 읽기나 운동, 식사시간까지 모두 들어 있다. 전 주에 계획을 얼마나 실천했는지 성취도를 표시한 표도 보였다. 1시간 또는 30분 단위로 무엇을 할지,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있다.“하하, 제 하루 스케줄은 10분 단위입니다. 1분 1초를 아껴, 놀 ... ...
- 2012학년도 수시 논술, 면접 마무리 전략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문제 풀이 외에 자기소개서에 관한 개별적 질문은 거의 하지 않는다. 주어진 문제를 모두 풀었을 경우 추가질문이 있으니 미리 대비하자.2) 포스텍 수시 일반전형 및 고려대 수시 특별전형칠판사용이 가능하다. 서울대 특기자전형에 비해 문제 수가 적고 면접이 여유 있게 진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 ...
- Depression increases Self-Hatred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사이에 매우 얇은 경계만이 존재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극한의 사랑과 강렬한 증오가 모두 동일한 뇌회로를 사용한다는 것으로 증명됐다. 최근 발표된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울증을 앓는 사람은 이 회로가 매우 약해져 있다고 한다. 얼핏 보면 증오를 느끼는 뇌회로가 약해지면 더 조용하고 ...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물 부족, 지구온난화 등 인류가 안고 있는 문제는 한 사람의 노력만으론 막을 수 없어요.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하지요.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인류가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며 해결해 나가자는 뜻으로 RGB 캠페인을 벌이고 있어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조숙경 미래융합실장님을 만나 자세한 ...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기묘한 재주로 때로는 적을 물리치고, 때로는 먹이를 잡아먹으며 살고 있는 동물들!모두 지구 생태계를 풍요롭게 만드는 주인공들이지요. 지금부터 그들의 놀라운 생존 전략을 공개합니다~.공작여치가이아나에서 발견한 이 곤충은 기묘한 생존 전략을갖고 있어요. 첫 번째 작전은 낙엽인 척하기! ...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모든 길이 통한다는 로마. 그래서인지 언제나 여행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로마는 이름만으로도 설레는 매력적인 도시다. 2000년 역사의 흔적을 고스란히 ... 시대에 지어진 피렌체 두오모의 돔과, 푸코의 진자로 유명한 파리 팡테옹의 돔이 있는데, 모두 판테온을 따라 지은 건축물이다 ...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수학동아 l2011년 11호
- 하나라는 얘기다. 반면 비주기적 타일링은 타일의 모양을 모두 다르게 하면 본질적으로 모두 달라져 한 그룹으로 묶을 수 없다.그만큼 타일링의 종류도 무한정으로 늘어난다. 그런데 몇 개의 타일만으로 반복되지 않는 비주기적 타일링을 만들 순 없을까? 1960년대까지만 해도 수학적으로는 이것이 ... ...
이전5965975985996006016026036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