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숫자로 보는 휴대전화의 역사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모르잖아요? 스마트폰 속 수학을 제대로 알면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보내 줄지도! 모두 모두 메리 크리스마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스티브 잡스의 특별한 선물, 스마트폰 속 수학Intro. 스티브 잡스는 수학을 좋아했다?!Part 1. 패턴암호 경우의 수는 몇 개일까?Part 2. 길+개리=원빈?!Part 3. ...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삐에로, 바나나 저글링은 나에게 양보하라구!)’갑자기 카푸친이 삐에로의 바나나를 모두 뺏어 저글링하기 시작한다.“카푸친, 안 돼~!”“삐에로야, 이러다 카푸친에게 최고 스타 자리를 뺏기겠는걸?”“흥, 전 기네스북에 도전하겠어요. 비밀병기, 링 13개! 단장님, 받아요!”‘우끼끼.(그래도 ... ...
- [수학실험실] 뢸로 삼각형 맨홀 덮개는 왜 안전할까?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든 구멍으로, 맨홀 덮개의 모양은 제작, 운반,안전 등을 모두 고려해 만들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위험 요소를 줄여 안전한 덮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어떤 도형으로 만들어야 안전한 맨홀 덮개가 될 수 있을까? 그러나 맨홀 덮개가 그림④와 같이 원 ... ...
- 루트2=1.414…를 제곱하면 진짜 2가 되나?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자연수를 차례로 써 내려간 규칙은 있지만, 순환하는 부분은 없습니다. 즉, 두 소수는 모두 순환소수가 아니므로 유리수가 아닙니다. 이와 같이 유리수가 아닌 수가 있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이런 수에게‘무리수’라는 새 이름을 붙였습니다.한편 무리수 중에는 위의 두 수와는 다르게 소수점 ... ...
- 접선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그러면 정말 어떤 곡선과 한 점에서 만나면 접선이 될까요? 아래 세 그림은 모두 직선이 다른 도형과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그림➊과 그림➌은 접선이지만, 그림➋는 접선이 아닙니다. 왜 그럴까요? 그림➋의 직선이 접선이 아닌 이유는 중학교에서 나오는 접선의 정의가 완벽하지 ... ...
- 중국, 우주까지 차지하나 -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아시아 국가들이 우주개발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각 나라가 추구하는 노선은 모두 다르다. 일본은 하야부사로 대표되는 과학 연구 위성과 H-II로 대표되는 발사체, 그리고 위성과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거의 전 분야 연구를 하고 있다. 인도는 2008년 한 개 발사체에 10개 위성을 동시에 싣고 ... ...
- 바이오안전성·산업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식탁 위의 생명공학’, ‘왓슨이 들려주는 DNA이야기’ 등이었다. 중, 고등부 대상작 모두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적절한 자료를 찾아 제시한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고등부 대상을 받은 김윤정 학생은 ‘나고야 의정서, 위기를 도약의 발판으로 삼기 위한 제안’을 작성해 대상을 받았다. ...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해독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하이드로게노솜과 미토콘드리아의 게놈을 비교하자 모두 특정한 세균(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20억 년 전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의 조상이 고세균에 포획됐고 산소가 풍부해지면서 미토콘드리아로 진화했다. 그 뒤 ... ...
- 글쓰기 능력이 합격 가른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따른 위치 정밀도 변화를 간단한 행렬과 삼각함수를 이용해 식으로 유도하게 했다. 모두 고등학교 수학 교과과정에서 배운 내용이다.문항 3의 논제 1, 2, 3고등학교에서 배운 과학지식과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가보지 못한 행성이나 위성의 현상을 추론하는 문제가 출제됐다.문항 3의 제시문 내용은 ...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수학동아 l2011년 11호
- 하나라는 얘기다. 반면 비주기적 타일링은 타일의 모양을 모두 다르게 하면 본질적으로 모두 달라져 한 그룹으로 묶을 수 없다.그만큼 타일링의 종류도 무한정으로 늘어난다. 그런데 몇 개의 타일만으로 반복되지 않는 비주기적 타일링을 만들 순 없을까? 1960년대까지만 해도 수학적으로는 이것이 ... ...
이전5925935945955965975985996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