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스페셜
"
해독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올해 최고 연구 성과 '로제타폴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9
정확도도 높다. 과학자들이 이미 실험을 통해 밝혀낸 단백질 구조를 로제타폴드가
해독
하도록 시험한 결과 90% 이상 일치했다. 이 연구성과에 대해 홀든 소프 사이언스 편집장은 "과학적 발견을 가속화하고 (생화학 분야의) 판도를 바꿀 기술"이라고 평했다. 사이언스 편집진의 평가 외에도 독자를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딥마인드는 ‘알파폴드2’가 98.5%의 예측 정확도로 36만 5000개 이상의 단백질 구조를
해독
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네이처는 로제타폴드 논문을 감안해 알파폴드2 논문 발표를 서둘러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대로 백 박사후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대회(CASP)에 등장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색으로 표시했다. 네이처 제공 지난 2월 ‘네이처’에는 스위치그래스의 고품질 게놈을
해독
한 결과가 실렸다. 스위치그래스 게놈 역시 기장처럼 이질사배체이지만 기장과는 달리 이배체 조상 가운데 하나는 직계 후손을 밝혔다. 중미와 남미 열대지역에 자생하는 기장속 식물이다. 연구자들은 46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넘어갔다. 최 교수는 토마토 게놈
해독
연구에 참여했고(2012년 결과 발표) 고추 게놈
해독
연구를 이끌었다(2014년 결과 발표). 둘 다 가짓과 식물로 서로 가까운 사이이지만 열매의 관점에서는 꽤 다르다. 토마토(야생은 방울토마토보다도 작다)는 씨가 성숙하면 과육이 물러지고 당도가 올라가며 ...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술을 개발해 후보로 선정됐다. 이 기술은 사람 한 명의 유전체
해독
에만 15년이 걸리고 수십억 달러가 들던 것을 약 1000달러 만으로 1시간 만에 가능하게 만들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도 이 기술을 통해 한달여 만에 분석됐고 이를 기반으로 백신도 조기 개발에 ... ...
[2021노벨상]'래스커상'까지 거머쥔 코로나 백신 과학자들, 올해 노벨상까지 받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수 있는 NGS 기술을 개발해 유력한 후보에 올라있다. 2000년대초 사람 한 명의 유전체를
해독
하려면 30억 달러(약 3조 5520억원)가 들었고 시간도 15년이 걸렸다. 하지만 NGS이 개발되면서 이제는 600달러(약 71만원)로 단 1시간만에 한 사람의 유전 정보가 모두 해석되는 시대가 됐다. 이 기술 덕분에 ... ...
[한 토막 과학상식]방사선으로 해킹 불가능한 양자난수 만드는 1.5mm 초소형칩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만드는 유사난수가 주로 쓰인다. 하지만 유사난수는 난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이 해킹으로
해독
될 수 있는 약점이 있다. 때문에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근본 대책으로 진성난수가 주목받고 있다. 그중 방사성동위원소가 붕괴하며 나오는 방사선이나 하나의 광자가 양자역학적으로 물리현상을 보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식물유래 백신의 가장 큰 장점은 신속성이다.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했을 때 게놈을
해독
해 항원이 되는 단백질(독감바이러스는 HA, 코로나19바이러스는 S단백질)의 유전자 정보를 알면 바로 DNA 조각을 만들어 아그로박테리움에 넣고 이를 식물(담배)에 감염시켜 4~6일 키워 수확해 바이러스유사입자를 ... ...
구글 딥마인드AI, 인간 단백질 2만개 구조 모두 예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과학자들은 X선 결정학 등을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직접 분석해 10만 여 종의 구조를
해독
했다. 그러나 한 번 분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어 그 수가 크게 늘지는 못했다. 때문에 과학자들은 실험 대신 컴퓨터 계산으로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해 오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단백질들끼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대신 데니소바인일 가능성이 크다는 쪽으로 유도할 것이다. 여러 정황상 지난 2010년 게놈
해독
으로 존재가 드러난 이래 많은 고인류학자들이 얼굴을 알고 싶어 한 데니소바인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만일 이렇게 논문 시나리오가 바뀌어 유명 학술지에 실렸다면 언론들이 ‘마침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