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스페셜
"
해독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생성형AI로 만든 '자연계 없는 단백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수행한다. 단백질 서열에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정보가 암호화돼 있다. 이를
해독
하면 원하는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설계할 수 있다. 과학자들이 원하는 형태의 단백질을 만들도록 고안된 인공지능(AI) 기반 생성형 언어모델이 인공적인 단백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16일(현지시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2018년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논문은 다양한 품종의 벼 3000여 개체(유전자원)의 게놈을
해독
해 참조 게놈에는 없는 유전자 1만 2000여 개를 발굴했다는 내용이다. 다국적 공동연구팀의 성과이지만 중국의 엄청난 연구 인력과 인프라, 예산이 없었다면 시도할 엄두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 만 1000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제공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양극성 장애 등 정신 질환의 유전적 원인을
해독
하는 것은 인간 뇌 구조의 복잡성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2015년에 설립돼 다수의 연구기관이 참여한 국제 컨소시엄인 '싸이켄코드(PsychENCODE)'는 정신 질환의 세포·유전자 단위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다양한 종이 나오는데 기여했다. 그렇다면 그 시점은 언제일까. 수많은 종의 게놈이
해독
되면서 노나펩타이드 유전자 분포를 조사한 결과 무척추동물은 1개, 척추동물은 2개를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노나펩타이드 유전자는 약 7억 년 전 무척추동물에서 생겨났고 그 뒤 약 5억5000만 년 전 척추동물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위석은 아무 효과를 보이지 못하여 요리사는 사망하고 말았다. 이로써 위석은
해독
효과를 가지지 못한다는 파레의 주장이 증명되었다. 파레는 또 부상당한 병사들에게서 절단된 사지에서 감각을 인식하는 환상통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환상통이 뇌의 문제라 생각했으니 시대를 앞서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효소의 활성을 방해해 빈혈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반면 사람에서는 바로 소화되거나
해독
돼 별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개와 고양이는 사료나 전용 간식만 먹이는 게 안전하다는 말이다. 커피에는 카페인을 비롯해 수백 가지 성분이 들어 있고 추출법에 따라 우려 나오는 정도가 다르다. LDL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치우쳐 있었기 때문이라고 봤다. ‘생명의 정보는 게놈, 즉 DNA염기서열에 담겨 있으므로
해독
된 것 아닌가’라고 생각할 독자도 있겠지만 앞서 인공생명체에서 언급했듯이 게놈의 정보만으로는 부족하다. 세포가 어느 수준 이상 손상되면(즉 구조정보를 잃으면) 아무리 게놈이 온전해도 결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생겨 뿌리가 더 굵어졌다. 네이처 식물 제공 세계에서 수집된 630개 유전자원의 게놈을
해독
해 비교한 결과 다섯 그룹으로 나뉘었다. 야생과 재래종(landrace)-A, 재래종-B, 초기 재배품종(cultivar), 개량 재배품종이다. 지금까지는 야생과 동양, 서양으로 이렇게 세 그룹으로 나눴는데 동양 그룹이 재래종-A ... ...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평가했다. 나머지는 영향을 확실하게 파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알파미스센스의
해독
법은 인간의 언어와 비슷하다"며 "영어 문장에서 어떤 단어가 다른 단어로 대체됐을 때, 영어에 능숙한 사람이 대체된 단어가 문장의 의미를 어떻게 바꿀지 여부를 알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소화와 흡수를 조절한다(왼쪽). 한편 독소가 들어있으면 장벽의 다른 세포들이 반응해
해독
작용을 한다. 알레르기 반응은 이 작용이 빨리 일어나게 하는 방법으로 비만세포(mast cell) 표면의 항체가 독소와 함께 들어있는 단백질을 항원으로 인식해 작용한다(오른쪽). 셀 제공 지난 2021년 학술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