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방
전면
앞쪽
표면
정면
선두
프런트
스페셜
"
앞
"(으)로 총 2,40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다리를 한참 씻었지만 찜찜했던 기억이 난다. 40여 년이 흐른 지금 필자는 매일 아침 집
앞
안양천 지천의 천변길을 산책한다. 오리와 백로를 보는 건 일상이 됐고 얼마 전에는 가마우지까지 출몰했다. 녀석은 수심이 깊은 곳에서 잠수해 사방을 휘저으며 빠르게 헤엄쳤는데 아마도 물고기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많은 물고기가 다니오넬라 세레브럼처럼 소리의 방향을 알아차릴 수 있다고 예측했다.
앞
으로 구체적으로 물속에서 소리가 날 때 어떤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한다. 진심이 담기지 않은 '과학기술 중심의 국정 운영'은 의미가 없다. 반도체·AI를
앞
세운 허울뿐인 융합학과와 계약학과만으로는 절박하게 필요한 이공계 인력을 충분히 양성할 수 없다.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의정(醫政) 갈등도 이공계 인력 양성에는 감당하기 어려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필요하다. 지금까지 의사의 중요한 역할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었지만
앞
으로는 생활습관을 중심으로 질병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미래의학에서는 생활습관의학은 미래의학의 중요한 분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문헌 Yeh BI, Kong ID. The Advent of Lifestyle Medicine. J Lifestyle Med 2013;3(1):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2024.06.15
꽤 많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나 또한 여기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안다.
앞
으로 더 조심해야겠다. 특히 주변 사람들이 내 말을 잘 듣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 내가 틀렸거나 또는 그냥 서로 의견이 다를 가능성을 생각해 봐야겠다. Ren, Z., & Schaumberg, R. (2024). Disagreement gets mistaken for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떠올렸다. 평소 신생아의 시각 발달 과정을 궁금해하던 산하 교수는 백내장으로
앞
을 보지 못하는 청소년들이 수술을 통해 시력을 회복한 뒤 시지각이 발달하는 과정을 관찰하면 해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말 못 하는 아기들과는 달리 이들은 수술 뒤 시지각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
2024.06.05
물론 실망스러운 소문으로 확인된 경우가 더 많았다. 그러나 2004년부터 17년 동안 울산
앞
바다의 '동해 1·2' 가스전에서 4500만 배럴의 천연가스를 생산하기도 했다. 2021년 폐쇄할 때까지 2조6000억 원의 수익을 올렸지만 생산에 1조2000억 원의 비용을 써야만 했다. 물론 적지 않은 이익을 챙기기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회공포증'과 '자기중심적 시각'의 악순환
2024.06.01
비교적 더 큰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인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또 모르는 사람들
앞
에서 발표하게 시키는 등 사회 불안을 고조시키면 타인의 의도와 감정을 해석하는 정확성이 떨어지는 등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안은 사람들로 하여금 보다 자기중심적인 시각을 유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죽음의 공포가 낯선 것 배척하게 만든다
2024.05.11
결국 모두 다 죽는다고 생각하면 어딘가 후련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근원적인 공통점
앞
에서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는 어쩌면 아주 사소한 것일지도 모른다. 같이 조금씩 죽어가고 있는 입장에서 서로에게 조금씩이나마 친절할 수 있다면, 다음 세대를 위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수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공중보건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지만 이보다
앞
선 1853년에 여덟 번째 자녀인 레오폴드 왕자를 춘산할 때 클로로포름을 사용한 바 있다. 그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왕이 클로로포름 냄새를 맡게 함으로써 무통분만에 성공했다. 클로로포롬의 효과에 만족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