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앞"(으)로 총 2,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2024.10.12
- 있다면 적어도 우리의 마음만은 죽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까지 거대한 고통 앞에서도 담담하게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그렇지만 한 가지 깊게 공감할 수 있었던 부분은 사람은 마음이 죽을 때 진짜로 죽는다는 점이다.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육아 하는 부모, 죄책감 줄여야2024.09.28
- 속에서 높은 죄책감과 싸우고 있을 것임을 떠올려 보았다. 이미 최선을 다하고 있을 또 앞으로도 20여년을 몸바쳐 양육에 힘쓸 이들이 조금이나마 덜 피곤하기를 죄책감에 가급적 조금 시달리고 자기 자신을 돌볼 수 있기를 바래본다. Miller, C. L., & Strachan, S. M. (2020). Understanding the role of mother guilt ...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동아사이언스 l2024.09.22
-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미국 사례처럼 갈색쥐의 이동에 관한 비밀이 풀릴 수 있다"며 "앞으로 10년간 과학자들은 고대 및 현대 야생쥐의 게놈 서열을 밝혀내 쥐에 관한 이해를 크게 향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펠리시아 키싱 미국 바드칼리지 교수와 리차드 S. 오스트펠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2024.09.11
- 해서도 안 된다. 그동안 의료 행정을 엉망으로 망쳐 버린 것도 모자라서 의사 악마화에 앞장서서 국정을 어지럽히고 엉터리 정보로 대통령과 국민을 기망한 보건복지부에 확실한 책임을 묻는 것이 그 시작이 될 수 있다. 고등교육법의 입시 예고제까지 무시하고 대학 사회를 갈가리 찢어버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2024.08.31
- 자존감을 수호하는 행위다. 내가 나를 좋게 생각하는 게 뭐 그렇게 중요하다고 자신의 앞길을 망쳐가며 자존감을 수호하는 것인지 인간은 참으로 슬픈 동물이다. 벼락치기로 해낼 수 있을 리가 없음을 충분히 알고 있으면서 마지막까지 사람들과 약속을 만들고 술을 진탕 마시는 등 '약속 때문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소속 욕구가 강할수록 상처받는다2024.08.24
- 했다. 그런 뒤 상대에게 얼마나 보복하고 싶은지, 상대가 얼마나 망했으면 좋겠는지, 앞으로도 계속 볼 것인지 아니면 피해 다닐 것인지 등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소속 욕구가 강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상대에게 화가 많이 났고 사건의 심각성을 크게 지각하며 그 사람을 용서할 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2024.08.07
- 기피 행동을 매개하는 뇌의 영역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시상하부의 배쪽안쪽시각교차앞구역(VMPO)에 자리한 뉴런 무리가 병원체 감염을 알리는 면역 신호를 받아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조율하는 관제센터였다. 제3뇌실(3V)에 접한 시상하부 표면에 분포한 띠뇌실막세포(tanycyte. 빨간색)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필요한 관심사 '가지치기'2024.08.03
-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고민하는 것들의 대다수가 아직 일어나지 않았거나 앞으로도 일어날 일이 없는 부질없는 일들인 것처럼 안타깝지만 우리가 평소 개인적으로 또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관심을 쏟는 많은 것들 또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때가 많다. 어떤 자극 또는 소재, 정보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2024.07.28
- 뢴트겐 이전에는 X선을 아무도 발견하지 못했는가? 정답은 “아니다”이다. 뢴트겐보다 앞서서 헤르쯔(Heinrich Hertz), 레너드(Philipp Lenard), 크룩스(William Crookes), 굳스피드(Arthur Willis Goodspeed) 등은 X선이라는 미지의 광선을 먼저 발견했다. 한 예로 1879년에 크룩스는 대기압의 약 100만분의 1정도로 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2024.07.20
- 자체이기 보다 물의 '여정', '물의 경험, '지금까지 만나왔던 땅과 이루어 왔던 물줄기, 또 앞으로 이룰 물줄기와 흘러감'임을 알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인 것이다. 이를 알고 나니 사람들에게 잘 보이는 것, 증명해 내는 것 등이 이전처럼 중요하게 느껴지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