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리
절단
美 MIT 과학자, '내 다리' 같은 로봇 다리 만들어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보행 패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어 “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들은 자신의 팔이나 다리를 스스로 통제한다는 느낌을 받고 싶어 한다”며 “몸의 일부가 된 것처럼 느끼려면 신경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극은 땀과 같은 물기에 민감한다는 ... ...
부식·누수 없는 스프링클러 배관 연결 기술 개발…"화재예방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스프링클러 연결 부위는 약 8만 개에 달한다. 기존 스프링클러 배관은 설치시 용접·
절단
·연마 과정에서 불티로 인한 화재 사고와 배관 연결부 부식으로 인한 누수 위험이 있다.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화재 발생 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2023년 9월 ... ...
휴가철 日 여행 비상…치사율 30% '식인박테리아'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장기부전이 발생할 수 있어 A군 연쇄상구균을 ‘식인 박테리아’라고도 부른다. 손발을
절단
하거나 목숨을 잃을 위험이 있다. 치명률은 30%에 달하며 고령층은 발병 48시간 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 STSS는 발생을 막을 수 있는 백신이 아직 없기 때문에 감기나 독감처럼 손 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등 ... ...
[극한호우, 우리]① 서울 지하엔 2년전 물난리 흔적…"지하 물길이 답일까"
2024.05.27
공법을 주로 사용했다. 기계식 굴착 장비인 쉴드TBM은 발파 없이 회전하는 커터로 터널의
절단
면을 파쇄하며 굴진하는 기계다. 발파하지 않으니 소음과 진동을 줄이며 공사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지하철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터널을 뚫는 데 이 공법을 이용한다. 그럼에도 소음과 진동이 없을 수는 ... ...
임상 환자 사망으로 새판 짜는 유전자가위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DNA의 기본단위인 염기를 다른 염기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NA를
절단
하지 않고 단일 염기에만 손을 대는 '염기교정(Base Editing)'과 특정 염기를 정교하게 교정할 수 있는 '프라임교정(Prime Editing)' 기술이 활용된다. 한국은 새로운 유전자 가위 교정법을 활용해 부작용을 ... ...
챗GPT 닮은 생성형AI로 '유전자 가위' 만든다
2024.05.04
1은 크리스퍼 캐스9의 효소만큼 표적 DNA 서열을 정확히 잘라냈으며 잘못된 위치에서
절단
할 확률을 낮추는 효율성을 보였다. 프로플루언트바이오는 오픈크리스퍼-1를 무료로 공개했다. 특허받은 일부 유전자 교정 도구와 달리 연구자들은 제한 없이 오픈크리스퍼-1을 사용할 수 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좋은 효과를 얻었다. 또 어린이에게 클로로포름을 적신 손수건을 코 위에 덮어두고 팔을
절단
한 결과 어린이가 통증을 거의 느끼지 않게 마무리할 수 있었다. 그 후로 클로로포름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1854년 런던에서 콜레라가 유행할 때 콜레라로 죽은 사람을 집을 지도에 표시해 본 결과 ... ...
뇌 없이 운동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운동을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척수를
절단
해 뇌에서 다리 쪽으로 운동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도록 만든 다음 쥐의 뒷다리가 어떻게 운동을 학습하고 기억하는지 살폈다. 연구팀은 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눴다. 실험군은 뒷다리가 처질 ... ...
걸음걸이 감지해 당뇨 환자 건강 지키는 전자 양말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발생해 감염되기 쉽다. 감염과 혈류 장애가 함께 발생하면 치유가 어렵고 발 조직 괴사와
절단
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기홍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은 발 뒤꿈치보다 중족골 부위에 압력을 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보행 방식이 궤양을 조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발에 가해지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가지지 못한다는 파레의 주장이 증명되었다. 파레는 또 부상당한 병사들에게서
절단
된 사지에서 감각을 인식하는 환상통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환상통이 뇌의 문제라 생각했으니 시대를 앞서간 착상이라 할 수 있다. 파레가 전쟁터는 물론 궁전에서 군인들과 왕족을 치료했지만 정규 교육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