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신경에 직접 연결된 의족…장애물 넘고 공도 찬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Media Lab 제공 다만, 피셔 리 미 피츠버그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한 논평에서 "하지
절단
환자의 70~80%는 외상이 아닌 당뇨병 등 혈류 장애와 관련됐다"며 "이런 환자들은 OMP 같은 골융합 방식에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OMP 이식 시 수술의 복잡성 등이 앞으로 OMP가 ... ...
생쥐 전체 신경 지도 완성…초고속 3D이미징으로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3D 이미징 현미경을 결합한 맞춤형 장비를 이용해 400μm 간격으로 생쥐 몸을
절단
했다. 각
절단
면을 고해상도로 연속 촬영하는 방식으로 전체 신경 지도를 40시간 만에 완성했다. 촬영은 약 200회 반복됐다. 각 이미지는 최대 600μm 깊이까지 신체 내부 구조를 포착했다. 기존 방법보다 수십 배 ... ...
음성 지시 따라 수술…돼지 담낭 제거한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절단
’ 단계가 수행됐다. 이 수술 과정은 담관과 동맥을 식별한 뒤 각각 클립을 부착하고
절단
하는 고난도 과정으로 총 17단계로 나뉜다. 연구진은 총 8개의 돼지 담낭 샘플을 활용해 모든 과정을 완전 자율 모드로 시행했다. 그 결과 모든 실험에서 성공률 100%를 기록했다. 실험 내내 사람의 ... ...
유전자가위 오작동 줄였다…배상수 서울대교수 연구팀, ‘Correct-Cas9’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생명공학 기술이다. 일반적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표적 DNA와 유사한 염기서열까지
절단
하는 문제로 정확성 확보가 어렵다. 인간의 게놈은 약 30억 개의 염기로 구성돼 있어 표적 염기서열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잘라내는 기술은 유전자 치료에서 핵심적인 요건으로 꼽힌다. 기존 유전자가위 ... ...
눈물 안 흘리고 양파 자르는 법
과학동아
l
2025.06.28
방법은 가장 잘 드는 칼로 천천히 자르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식품
절단
시 칼날을 날카롭게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면서 "특히 살모넬라균과 같은 식중독균을 옮길 수 있는 과일과 채소를 손질할 때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세균이 포함된 에어로졸이 멀리 퍼져 다른 ... ...
[고리1호기 해체] 원격 로봇 팔로 자르고 분리…원전해체 핵심기술은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원격으로 오염이 많이 된 부분을 잘라내고 분리해야 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원격
절단
기술은 특수 장비를 구현해야 해 다른 해체 기술보다 난도가 높다. 일종의 대형 건물인 원전 폐기물 대부분은 콘크리트와 금속으로 그 양이 엄청나다. 한국에서 방사성폐기물 처리비용은 200리터당 약 160 ... ...
꼬리 재생 도마뱀 연구해 인간 근육 손상 치료 단서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2
조절과 재생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갯지렁이의 몸통 일부를
절단
한 후 상처 주변 세포들이 줄기세포로 전환되며 신경세포까지 포함한 조직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인간의 '야마나카 인자'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자연적으로 발현되는 사실이 확인됐다. ... ...
인공 다리 자기 것으로 인식하는 쥐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체화 감각 연구가 활성화되면
절단
돼 존재하지 않는 신체 부위를 아프다고 느끼는 ‘환상통’ 치료법, 인공 의수 착용감을 높이는 방법, 가상현실(VR)에서 몰입감을 증진하는 전략 등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정밀하게 손끝으로 물체 집는 초경량 '로봇 인공손'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링키지-와이어 복합 구동 방식과 부족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절단
장애인이 다양한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로봇 의수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부족구동은 하나의 구동기로 여러 관절이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 로봇 의수는 고정된 파지 궤적 ... ...
[과기원NOW] 류석영 KAIST 교수 ‘임형규 대상’ 수상·전액 기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비정상적인 세포분열을 막는 역할을 하지만 핵 안쪽으로 이동하면 오히려 멀쩡한 DNA를
절단
해 세포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LEM-3 단백질은 사람에게는 ANKLE1이라는 유사한 단백질 형태로 보존됐다. 가트너 교수는 "ANKLE1은 유방암과 대장암 등 특정 암 발생과 연관된 유전자로 알려져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