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몸에서 길러낸 사람 신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9.08
돼지의 각 신장을 만드는 줄기세포의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절단
해 유전체를 교정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사용했다. 먼저 인간 신장을 키울 줄기세포가 돼지의 체내에서 다른 세포들과 충돌을 일으키지 않도록 신장 발달에 관여하는 특정 유전자 2개를 ... ...
알츠하이머 새 발병 메커니즘 규명…"타우단백질
절단
이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04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체내에서 응집된 단백질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발생 메커니즘을 ... 새로운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타우단백질의
절단
으로부터 시작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 모델. 서울대 ... ...
약물 내성 극복하는 ‘항암치료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9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마이셀을 이루는 펩타이드 일부가 카텐신B에 의해
절단
되면,
절단
된 분자가 다시 자기조립을 통해 긴 섬유구조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리소좀 막이 훼손되고 기능장애가 일어나면서 결국 암세포가 사멸하게 된다. 연구팀이 이를 실험쥐에게 적용한 결과, 실질적으로 암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사고로 발목뼈가 부러진 한 캐나다인은 항생제내성 세균이 뼈까지 침투해 염증이 심해져
절단
이 불가피하다는 의료진의 의견을 따르지 않고 수년간 독한 항생제로 버텼다. 그러나 상황이 나빠져 더 버티기 힘든 지경에서 파지요법을 알게 돼 조지아로 건너가 치료를 받고 극적으로 회복했다는 ... ...
수술과 동시에…AI로 뇌종양 유전자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일(현지시간) 학술지 '메드'에 밝혔다. 개발된 AI 기술의 이름은 '참(CHARM)'이다. 뇌조직
절단
에 대한 조직 병리 평가와 검토를 해주는 기기라는 뜻이다. 뇌종양 수술 집도의는 수술을 진행하는 동안 뇌종양의 조직을 채취해 냉동한다. 얼린 조직을 얇게 자른 뒤 사진을 찍어 그 사진을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가지 방법들
과학동아
l
2023.06.18
손상된 당뇨병 환자는 발에 난 상처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괴사가 진행돼 발 전체를
절단
해야 한다. 배 교수는 “피부 상처는 그동안 생명과 직결된 질병이 아니라는 이유로 연구가 더디게 진행돼왔다”면서, “삶의 질을 높이고, 보편적인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이기에 앞으로 점점 ... ...
수학계 50년 난제 해결…반복 구조 없는 무한 패턴 '타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비주기적 타일링은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다양한 도구들에도 활용된다. 샤워 커튼, 쿠키
절단
기, 축구공 등에서 빈틈없고 견고한 구조를 만드는 데 필요하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구급차·응급 환자 분류법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2)
2023.05.30
사용법을 익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1873년에 그의 이름을 딴 고무붕대를 고안하여
절단
수술시 사지에서 피가 흘러나가는 것을 줄이는데 이용하도록 했다. 1850년대에 크리미아 전쟁이 일어나자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이 참전하여 위생에 힘쓴 결과 사망률을 줄이고 전투력을 보존하는데 큰 ... ...
코로나 감염 후각상실 치료할 수 있을까...섬모세포 손상 원인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5.25
등 섬모 및 섬모세포 손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절단
된 셉틴 조각은
절단
되지 않은 셉틴 단백질들과 결합해 복합체를 형성하고 정상 활동을 하는 셉틴 단백질 이동을 방해해 섬모의 구조 유지와 기능 손상을 야기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박찬영 교수는 “향후 코로나19 바이러스 ... ...
만성통증 환자에 '희소식'...뇌에서 전기신호 최초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실험 참가자 중 3명은 뇌졸중을 겪은 이후 증상이 나타났으며 1명은 다리를 잃은 후
절단
된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환지통을 겪고 있었다. 1년 이상 만성통증을 앓아온 이들 환자를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뇌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확인했다. 뇌에 전극을 부착해 통증을 느낄 때 뇌의 특정 부위에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