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아가미"(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말 정말 신기한 동물들 5마리기사 l20201206
- 것처럼 달라붙는다. 혀를 잃은 물고기는 죽지는 않지만 발육이 나빠질 수 있다. 5. 우파루파 멕시코의 운화의 서식하며 커다란 아가미가 튀어 나와 있다.그런데 우파루파 는 놀랄 만한 재생능력이 있다!! 다리나 꼬리를 잃어도 다시 몇 주 만에 생긴다고 한다.연구에 따르면 어떤 특정의 단백질이 빠를 재생을 돕는다고 한다. 발이나 꼬리는 잘려도 다 ...
-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동물들 10 마리!기사 l20201124
- 그 안에서 애벌레를 끄집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9등 칠성장어(흡혈장어) 출처[https://magazine-k.tistory.com/522] 이 칠성장어는 옆의 아가미구멍이 일곱 개라서 칠성장어로 불립니다. 이 이상하게 생긴 장어는 다른 물고기에 붙어서 기생을 하기 때문에 입은 턱이 없고 그냥 빨판 모양의 입만 있습니다. 칠성장어는 ...
- 2020 bioblitz 수업기사 l20200926
- 비대면으로라도 bioblitz수업을 들었어요 저작권으로 인해 사진은 없지만 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어류 물고기란 물에사는고기,아가미로 호흡하는 생물, 비늘을가진 생물, 지느러미가 달린 생물이에요 첫 번째로 연못에사는 물고기를 배웠어요. 물고기 종류로는 붕어,송사리,잉어,비단잉어,금붕어가 있다. 두 번째로는 아쿠아리움등 가면 볼 수 있는 ...
- scp-682포스팅 l20200919
- 소화는 SCP-682의 콧구멍 내부에 있으면서, 어떠한 액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고, 산성에서도 지속적으로 재생하는 아가미 필터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SCP-682는 재생능력과 복원력이 뛰어나서, 몸의 87%가 파괴되거나 부식되어도 말하고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SCP-682가 탈출했을 경우, 동원 가능한 모든 특수 기 ...
- 신기한 심해생물 모음집 1탄!기사 l20200913
- 주름상어는 평범한 상어치고는 꽤 신기한 외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주름이 난 것 같지는 않죠? 그거는 주름상어의 아가미가 프릴처럼 생겨서 'Frilled Shark' 이라고 이름붙였는데, 사람들이 한국식으로 번역을 해서 '주름상어' 라고 불리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주름상어는 산락상어목이라는 과에 속해 있는데, 이 과에 속한 상어들 ...
- ㅎㄷㄷ.... 조금 이상한(?) 곳에 기생하는 키모토아 엑시구아!기사 l20200908
- 1. 조금 이상한(?) 데에 기생하는 키모토아 엑시구아 대체... 물고기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거일까요? 바로... 키모토아 엑시구아가 아가미를 통해 물고기의 입속에 들어가, 혀를 빼고 혀가 있던 자리에 들러붙는 것이였습니다! 들어간 후에는, 발로 눌러서 혀가 다시 자라지 못하게 하고, 혀 뿌리에 딱 들러붙어서 혀가 되고, 물고기의 영양분을 ...
- 신기한 동물들 4기사 l20200902
- 아무리 성장해도 모습이 변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런 성장을 유형성숙이라고 합니다. 얼굴 뒤에 있는 붉은 돌기 같은 것은 아가미입니다. 이 우파루파는 색도 매우 다양해서 알비뇨, 노란색, 분홍색, 초록색 등이 있고 흰색이 가장 대표적 이지만 원래 검은색이였다고 합니다. 우파라파는 야생에서는 해발 2000m 에 있는 고지 호수에 서식합니다 ...
- 뇌도 복구가 된다고? 맥시칸 귀염둥이 우파루파(아홀로틀)에 대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기사 l20200828
- 커서도 아기 때의 많은 특징을 유지한다. 우파루파는 성체가 돼도 어렸을 때의 모습과 특징을 유지합니다. 그리고, 깃털 모양의 아가미도 성체일 때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빨이 발달되지 않아서 음식을 흡입해서만 먹을 수 있습니다. 2. 특정 환경에서는 변태할 수 있다. 요오드가 충분하다면 변태하고 땅을 오갈 수 있는 도마뱀이 될 수 ...
- 이쑥쑥 - 200708 - 1탐사기록 l20200708
- 동네 산인데, 도롱뇽 유생을 발견하는 장소라 가끔 가보는데 오늘은 유생 6마리와 아가미가 없어진 도롱뇽 2마리를 관찰했습니다. 귀여운 녀석들 보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즐겁게 놀다 왔어요. 알은 이제 안보이고 산개구리, 참개구리도 많았어요. 관찰 후 모두 제자리로 잘 돌려보내주었어요~ ...
- 이쑥쑥 - 200706 - 1탐사기록 l20200706
- 탐사일 2020.07.05시민과학풀씨-도롱뇽 탐사 중수온 19용존산소량 11수중 ph 6.51고리도롱뇽 유생. 두 달 정도 된 고리도롱뇽 유생으로 아가미가 선명하게 눈에 띕니다. 주변 고인 물에선 무당개구리와 무당개구리알도 찾았어요. 무당개구리는 하루이틀만에 부화하여 알을 보기 힘들다고 하셨어요. (사진이 없네요ㅠ.ㅠ 연구원님 설명 감사~)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