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퇴직
d라이브러리
"
퇴역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듯한 불안과 공포 그 자체다.당시 메두사호는 20년이 넘도록 키 한 번 잡지 않았던
퇴역
해군 장군의 지휘 아래 있었으며 항해 도중 아프리카 해안에서 좌초되고 말았다. 메두사호에 배치된 구조용 보트를 타고 선장과 장교들은 탈출했지만 보트에 오르지 못한 150여명의 사람들은 뗏목에 몸을 싣고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20~30% 비용만으로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무중인 군인에게는
퇴역
위로금이나 지원금 등을 지불해야 하지만 로봇에게는 이런 비용이 필요 없다.미군이 군사로봇을 개발하고 운용하는데 드는 비용은 평균 1명의 병사에게 평생 지급되는 비용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고 한다. 또 ... ...
인류는 왜 다시 달로 가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이때 나온 정책이 부시 대통령의 구상이었다.이 구상에는 노후한 우주왕복선을 2010년에
퇴역
시키고 새로운 유인탐사선을 개발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구상의 핵심은 ISS와 우주왕복선 중심의 지구 저궤도 비행에서 벗어나 달을 우주탐사의 전진기지로 삼는다는 점이었다. 이런 내용을 구체화한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대신할 차세대 우주선 개발에 가속이 붙었다. 디스커버리와 애틀랜티스가 2010년
퇴역
을 앞두고 있어 이들을 대신할 유인우주탐사선(CEV, Crew Exploration Vehicle) 개발이 시급하기 때문이다.아폴로 우주선 닮은 캡슐 형태차세대 우주선은 어떤 모습일까. 지난 5월 미국 록히드마틴 사는 NASA가 제시한 CEV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디스커버리가 올해로 21세가 됐다. 2010년
퇴역
을 앞두고 있으니 우주선 가운데 ‘노장’인 셈. 지금 노장의 어깨는 무겁다. 2003년 2월 1일 컬럼비아가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착륙을 16분 앞두고 미국 텍사스 상공에서 폭발한 뒤 처음으로 시도하는 우주비행 임무를 떠맡았기 때문이다. 우주왕복의 ... ...
비행기 1백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있었다. 콩코드처럼 항공공학적인 요인이 아닌 환경적인 또는 경제적인 요인에 의해서
퇴역
을 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었다.반면에 전자공학이나 컴퓨터 기술과 같이 비행기에 응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우수한 성능을 가진 새로운 비행기로 탈바꿈하는 경우도 있었다.요즈음 우리는 ... ...
컬럼비아호 참사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번 폭발사고가 발생한 직후 CNN의 보도에 따르면 NASA는 컬럼비아호를 지난 2001년 한때
퇴역
시키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한다. 컬럼비아호가 20년이 지나며 노화돼 그동안 적지 않은 기술적 결함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예정돼 있던 몇가지 과학임무 때문에 컬럼비아호의 비행은 계속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소행성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향상됐다. 비슷한 시기에 음반시장에서 CD가 LP를
퇴역
시킨 것처럼 CCD는 결국 사진건판을 대체했다. 이제 디지털 기술 덕분에 1km급 소행성을 검출, 추적할 수 있게 됐다.3백여개 블랙리스트에 올라지금까지 알려진 소행성의 대부분은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2-4AU, ... ...
UFO목격담 연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밝힘.소련에 UFO가 다수 출몰해 10월 18일의 소련 국방성 산하 전소우주항행위원회에서
퇴역
공군장성 스톨리야노프를 의장으로 하고 지젤교수를 부의장으로한 UFO조사기관이 설치됨.1969년12월17일 미국 공군은 20여년간 유지해온 공식적인 UFO조사기관 프로젝트 블루북을 폐쇄하기로 결정.그간 프로젝트 ... ...
방사능 위험안고 해저 누비는 핵잠수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많은 양의 사용후 핵연료가
퇴역
한 핵잠수함 선체에 그대로 장전된 채 방치되는 등 적절하게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그런데도 핵잠수함의 사용후 핵연료는 핵무기 보유국의 군사영역에 속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감독을 받지 않으므로,러시아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