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퇴직
d라이브러리
"
퇴역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인류는 오래 전에
퇴역
한 기계 몸뚱이 군인에게 그렇게 민감한 임무를 맡겼다.아마도 그
퇴역
군인이 욕망과 감정을 버리고 죽음과 한없이 가까운 고독을 벗삼는 자였기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3000년 동안 열려 있던 등대 건물의 문이 닫혔다. 그리고 세 시간 뒤에 열렸다. 나는 그 세 시간 동안 쥐가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산·알칼리 지도도 만들었습니다. 하하하.나사 앵커 (심기 불편) SMOS는 이제 그만
퇴역
할 때가 되지 않았나요? 원래 임무가 2013년까지였던 걸로 아는데…, 그리고 해상도가 50km밖에 안 돼서, 해상도 10km인 SMAP 기자보다 한참 떨어지죠. SMAP 기자는 4초마다 거대안테나를 한 바퀴씩 회전시켜 폭 1000km에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개선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연비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실제로 콩코드가
퇴역
한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연비가 최악이라는 점이었다. 항공기가 하늘로 떠오르기 위해 필요한 양력은 공기가 주 날개 위아래를 서로 다른 속도로 흐르면서 생기는데, 이 때 공기가 날개와 부딪치면서 항력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포함한 승무원 7명이 전원 사망한 ‘컬럼비아 재해’ 이후 NASA는 노후한 우주왕복선을
퇴역
시켜야 했다. 우주에 사람을 보내려면 러시아의 소유스 우주선에 매달려야 하는 처지가 된 것이다. 게다가 민간 우주관광은 러시아 정부와 계약을 맺은 미국의 ‘스페이스 어드벤처’사가 가격을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탑재하기 시작했다. 3세대는 유도무기를 통해 전자전 능력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현재
퇴역
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팬텀기(F-4) 등도 3세대 전투기에 속한다.4세대부터는 고도의 전자전 능력을 갖추고, 음속의 2배에 가까운 초음속 성능도 갖춰야 했다. 미국의 F-14와 F-15, F-16, F/A-18, 구소련의 미그 29 ... ...
내 생애 마지막 휴대폰 - 폰관리 피부관리보다 힘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단가가 더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차라리 티타늄으로 만들면 어때무려 20년 전(1990년)에
퇴역
했지만 마하 3.3(시속 4040km)의 기록으로 세상에서 여전히 가장 빠른 유인기인 SR-71 블랙버드. 블랙버드의 속도 비결 중 하나는 동체를 가벼운 티타늄 합금으로 만든 데 있다. 티타늄은 같은 강도로 강철보다 45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가장 빠른 유인기는 미국 록히드사의 블랙버드 SR-71이다. 1964년 도입되고 1990년
퇴역
한 이 비행기의 속도는 음속의 3배가 넘는 마하 3.3. 오늘날 가장 최첨단 전투기인 F-22 랩터의 최고속도 마하 2.25보다 시속 1000km 이상 빠르다. 그런데 만약 사람이 타야한다는 조건을 뺀다면 세계에서 가장 빠른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있답니다. 활주로 제설작업의 선두에는 초특급 제설장비 ‘SE-88’이 앞장 서는데,
퇴역
전투기의 제트엔진을 재활용해서 만든 특수차량이에요. 강한 바람이 6개 배출구로 나오면서 활주로에 쌓인 눈을 20∼30m 밖으로 날려버려요. 또 400∼500도에 이르는 고온으로 눈을 순식간에 증발시켜 제거하지요 ... ...
비행기에 업힌 ‘우주왕복선 할아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데 성공하기도 했답니다. 지난해 3월 미국이 우주왕복선 계획을 중단하면서
퇴역
한 디스커버리호는 지금까지 2억 388만km를 비행하고 지구 궤도를 5830번 이상 돌았대요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타이타닉은 그중 두 번째였다. 첫 번째인 올림픽은 1911년부터 1935년까지 활동하다
퇴역
했다. 하지만 타이타닉의 뒤를 이은 브리타닉은 건조되자마자 1차 세계대전이 터지는 바람에 의료선으로 활동하다가 기뢰를 맞고 침몰했다. 야심차게 만든 세 자매선 중 두 척이 불의의 사고로 침몰하는 비극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