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퇴역"(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1966년부터 1991년까지 동해에만 액체 핵폐기물 3만 2970m3를 버렸다. 또 1993년 10월에는 퇴역 핵잠수함을 해체한 폐기물 등 12만 3497m3를 바다에 버렸으며, 그 중 97%가 동해였다. 당시 과학기술처(현 교육과학기술부)는 바닷물과 오징어, 명태 등 어류를 대상으로 방사능 오염 여부를 검사했다. 세슘-137 등 ...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암흑물질의 존재를 찾아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네 번째 수리임무를 마지막으로 퇴역이 예상됐지만, 계속 유지하자는 여론 덕분에 NASA는 2009년 5월 광시야카메라(WFC3)와 우주기원분광기(COS)를 새로 장착했다. 이 수리로 허블우주망원경은 자외선에서 민감도가 10배 증가했다. 앞으로 차세대 ...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넘나드는 아바타는 과연 얼마나 현실성이 있을까. 주인공 제이크 설리는 해병대 출신 퇴역군인으로 전투 중 다쳐 다리를 영영 못 쓰는 불구의 몸이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만난 어거스틴 박사의 도움을 받아 첨단 신경과학과 생명공학의 조합으로 만든 아바타를 통해 새 삶을 시작한다. 영화 속 ...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과학동아 l2009년 06호
- 30여 년 동안 홀로 하늘을 지켰던 노병에 대한 추억이라는 해석이 많다. 2003년 콩코드의 퇴역 비행은 영국과 프랑스의 큰 이슈가 됐을 정도였다. 지구촌을 한 묶음으로 엮을 새로운 끈인 ‘네오 콩코드’가 어디에서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지 주목된다 ... ...
- 눈먼자들의 도시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비해 퇴화돼있지만 맹인이 된 뒤에는 급속히 발달해 시각의 역할을 대신한다. 맹인 퇴역 장교가 주인공인 영화 ‘여인의 향기’(1992년)에서 주인공 프랭크 슬레드(알 파치노 분)는 예리한 후각과 청각으로 정상인 못지않은 탱고 실력을 뽐낸다. 동물도 마찬가지다. 개나 고양이는 색깔을 구별할 수 ...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디스커버리, 엔데버 3대의 우주왕복선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까지 모두 퇴역시킬 예정이다. 우주를 바라보는 눈, 허블우주망원경1990년 4월 24일 NASA는 우주를 바라보는 새 ‘눈’을 얻었다. 약 600km 상공에서 96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구경 2.4m짜리 허블우주망원경을 발사했기 때문. ...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오퍼튜니티 형제는 화성탐사 로봇계의 살아 있는 전설이다. 당초 90일 정도만 일하고 퇴역하기로 했지만 5년이 지난 지금도 부지런히 탐사를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들을 만나러 가고 싶지만 나는 이들 형제와 달리 바퀴가 없는 고정형 탐사로봇이라 그럴 수 없다. 그들이 황량한 벌판에 있는 ... ...
- 우주여행 꿈꾸는 사람들의 무한경쟁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2006년 NASA는 현재 운용 중인 4대의 우주왕복선을 2010년까지 모두 퇴역시킬 것이라고 못 박았다. 그리고 NASA는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개발하는 연구기획만 담당하고, 실제 개발은 민간업체에 맡긴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현재 공모를 통해 뽑은 2곳의 업체가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장기 체류 우주인이 6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2010년 중반에 우주왕복선은 모두 퇴역하고 새로운 유인우주선인 ‘오리온’은 2015년쯤 완성될 예정이라 그 사이에는 러시아의 소유즈를 통해서만 ISS를 방문할 수 있다. 위험물이냐, 우주호텔이냐ISS는 러시아의 우주정거장인 미르를 운영하면서 ...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과학동아 l2007년 08호
- 함께 무려 13년 동안 ‘네이처’ 같은 세계적인 저널에 실린 연구성과를 내다가 4년 전 퇴역했다. 요즘은 장비를 만들지 않고 구입해 쓴다.처음에 함께 고생한 학생들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까. 노 교수는 “세상이 많이 좋아지긴 했다”라면서도 “요즘 학생들은 ‘헝그리 정신’이 부족한 것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