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우리와 바다의 긴 동행을 위한 훌륭한 첫 만남이 될 것이다.우리가 사는 현실에서
직접
보고 만질 수 있는 것보다 그럴 수 없는 것이 훨씬 많다는 사실 자체는 더 이상 놀랍지 않다. 이미 자주 듣고 또 놀랐기 때문이다. 즉 이젠 우리가 흔히 보기 어려운 이미지라는 점만으로는 충분히 경이롭지 않다.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19년 미국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연구팀은
직접
만든 2차원 수치예보 모형에 지진이 일어난 상황을 시뮬레이션해서 지진의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진 파열이 발생하기 전에 고유한 음향 신호가 나타났다. 이 음향 신호는 단층 사이에 응축돼 있던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보고, 그 함수 관계를 조사하는 통계적 분석 기법이다.*간접 선거제 : 유권자가
직접
선거 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선거인단을 뽑고 그들이 선거 후보에게 투표해서 당선자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외 다른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은 원하는 정보를 뇌에
직접
입력하기 위해 어느 뇌 신경회로를 어떤 식으로 자극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조차 알려지지 않았다. 앞으로 많은 신경과학 연구를 통해 점점 비밀이 밝혀질 것이다.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뇌를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손상시켜 피부 탄력을 감소시킨다”며 “고혈당은 피부 노화에도
직접
적인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더 오래 건강히 살기 위해지금까지 우리가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다양한 이유를 살펴봤다. 이제 마지막으로 소개할 것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유다. 바로 ‘오래 ... ...
“20년 전 제언이 여전히 유효, 이제는
직접
바꾸겠다”_정우성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고민하는 것뿐만 아니라 만드는 데 기여해 왔기에 이제는 ‘제안하는 사람’이 아닌 ‘
직접
뛰는 사람’이 되고자 합니다. Q 2023년부터 국민의힘 과학기술특별위원회(과기특위) 위원장 및 총선 공약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어떤 시간이었나보통 정당에서 과기특위를 꾸릴 때 위원장은 현직 의원이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말도 마요. 전부 취소예요. 취소. 입학하겠다는 애들이 없어서 저희 쪽도 교수님이
직접
학부생 MT까지 찾아가고 계세요.”‘이러다 잘리는 거 아니야?’ 같은 폭풍 전야는 없었다. 폭풍을 멀리서 보고 두려워하기도 전에 이미 폭풍은 우리 연구실을 휩쓸고 지나갔으니까. 형과 나는 폭풍우가 쓸고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게임을 해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기획했습니다.) 여러분, 지난 화에서 캐릭터를 개성 있게 꾸며 봤나요? 이제 게임을
직접
해볼 거예요. 우선 게임 설정부터 시작해 볼게요! 내 캐릭터를 잘 움직이려면? 로블록스 게임을 즐기려면 간단한 게임 설정 방법과 조작 방법을 알아야 해요. 방법을 익히기 위해 로블록스 홈페이지 상단 ... ...
전술의 신 4. 탄탄한 수비진 짜는 팬의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입구는 골대, 적은 공격수 1명, 추격자는 수비수들이다. 협력 수비를 하려면 공격수에게
직접
가서 공을 뺏는 것보다 공간을 줄여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효과적인 셈이다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아이디어들이 꾸준한 노력에 힘입어 지금에서야 빛을 보고 있다고 생각해요.” NASA에서
직접
초음속기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김형진 교수는 X-59를 포함한 최근의 초음속기 연구에 관해 이 같은 소회를 밝혔다. 오래전부터 마련돼 있던 소음을 줄일 이론적 아이디어가, 1990년대 들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