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통
수송
소통
이법
공전
운전
시행
d라이브러리
"
운행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동의 ‘주체’가 변하다│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장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지금은 교통 시스템의 일부가 공공의 영역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적은 곳이라도
운행
을 하는 구간이 있다. 기업 주도의 모빌리티 시스템이 생기면 교통 소외지역이 늘지는 않나.늘어날 수 있다. 공급자는 수요에 따라 교통 서비스를 배차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적은 곳은 ... ...
이동의 공간에서 즐거운 놀이터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의미가 변하고 있다.고전적인 IVI 시스템은 이미 차량 안에 들어와 있다. 실시간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이나 운전 중 지루함을 떨쳐낼 수 있게 해주는 라디오, DMB 등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차량 자체에 통신기능을 탑재해 실시간으로 ... ...
운전 약자·도시 문제 해결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된다. 국토교통부의 2013년 자동차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차량의 1일 평균
운행
시간은 56분 정도다. 나머지 23시간 4분을 주차장에 머무르는 상황이다. 자율주행이 되면, 자율주행 차량을 공유해 도시 내의 차량 대수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당시 우버는 이를 통해 차량 대수를 최대 10분의 1 ...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때 인식하는 대상을 거의 다 감지한다. 초기엔 서울대 캠퍼스와 같은 제한된 지역에서만
운행
했는데, 2021년 현재는 서울 여의도와 지방 소도시에서 누적 주행거리를 늘려가며 주행 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을 학습하고 있다. Q. 자율주행을 위해 필요한 기술은 무엇이 있나?기본적으로 주변 ... ...
자율주행의 또 다른 눈│최선욱 네이버랩스 연구원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수 있다. HD맵 없이도 자율주행은 완성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HD맵은 자율주행차
운행
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임은 분명하다. HD맵은 자율주행이 실시간으로 하는 정보 수집, 처리 과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실제로 자율주행차에서 쓰이는 기술이 HD맵을 제작할 때 거의 ... ...
[chapter2] 미래 모빌리티 대해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한다.전기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속이 부드럽게 이뤄지고,
운행
중에 소음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연료를 연소하는 방식이 아니라서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엔진 등 연소를 위한 장치가 필요 없어 자동차 내부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다. 전기차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필요하다.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전기차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차량 스스로
운행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면서, 충전과 운전을 더 이상 인간이 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에서 사용하고 남은 전기를 다른 차량에 보내거나, 집안의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 ...
기술로 모빌리티 효율 극대화하다│위현종 쏘카 전략본부장(CSO)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38km를 오고 가는 유상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국토부가 선정한 국내 자율주행차 시범
운행
지구 중 최장거리이며 육거리까지 있을 정도로 도로가 굉장히 복잡한 구간이다. 2020년 자율주행차법(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며 많은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에서 유상 ... ...
친환경 물류부터 라스트 마일 배송까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출력을 얻으려면 기술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배터리는 자동차에 맞는 출력과
운행
거리를 내기 위해 사용하는 얇은 분리막 등이 화재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배터리와 수소연료전지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높이는 것이 친환경 배송 모빌리티 개발에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신축적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이 몰릴 때를 예측해 더 많은 버스가
운행
하도록 할 수 있다. 평소 개인 차량처럼 이용하던 자율주행차도 이때엔 우버처럼 대중교통에 가깝게 활용한다. 이렇게 도시가 역동적인 상황을 완충하며 신축적으로 운영돼야 시민의 만족도도 높아지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