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얻었을까요? 이후 문명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에게 빨간색은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총알에 실을 묶어 권총과 연결합니다. 그리고 방아쇠를 당기면, 총알이 나가는 힘으로 하늘을 날 수 있지요. 이게 말이 될까요? 언뜻 보면 그럴싸하게 들리는 과학 밈●들을 성균관대학교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하는 마네킹에 접근해 마네킹의 상태를 살핀 후 주사를 꺼내 꽂는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을 선보였어요. 데이비드 킹 박사는 “이 로봇은 환자가 쓰러진 장소에 도착하고 나서 20분 안에 상태를 파악한 뒤 필요한 대처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볼 수 없도록 암호로 만들어서 주고받는다. OTT에서 보는 영상도 마찬가지다. 내가 결제한 영상을 나만 볼 수 있어야 하니까 암호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정보를 암호로 만들 때 타원 곡선 암호, 격자 암호 등 여러 종류를 쓰지만, 가장 많이 쓰는 건 RSA 암호다. RSA 암호는 1977년 미국 ... ...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기발한 아이디어를 냈다. 불법 복제에는 반대했지만, 현재의 저작권법이 소비자보다는 영상물을 만드는 기업에 유리하게 돼 있다고 생각해 항의하는 이유로 이런 코드를 만들었다. 특히 대중의 관심을 불러 모으기 위해 코드를 소수로 만들었다. 소송에 다뤄지는 숫자가 수학계에서 관심을 받는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알터)3’에 관한 논문을 공개했다. doi: 10.48550/arXiv.2312.06571 연구팀이 논문과 함께 공개한 영상을 보면, 알터3은 ‘귀신 흉내를 내줘’라는 말을 들으면 두 손을 앞으로 내밀며 입을 벌려 귀신 흉내를 내고, ‘메탈을 연주해 줘’라는 요청엔 기타를 치는 흉내를 낸다. 이때 중요한 건 사람이 로봇에게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로블록스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어요. 케이팝 아이돌 댄스 뮤직비디오와 패러디 영상 등 다양한 볼거리를 만들고 있습니다. 2023년 9월에는 아이돌 아이브의 노래 ‘I AM’의 뮤직비디오를 로블록스 버전으로 만들었어요. 공식 뮤직비디오와 최대한 비슷한 느낌을 내면서 로블록스의 특색을 ... ...
- 움직이는 만화, 애니메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여러 장을 1초 안에 연속으로 보여주면, 잔상효과로 인해 그림들이 하나로 연결되면서 영상처럼 보이는 거예요. 지금은 과학 기술이 발전해서, 원판이나 원통을 돌리지 않고도 그림이 실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 수 있어요. 바로 컴퓨터 그래픽(CG) 덕분이지요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성 AI를 이용하면 피사체가 계속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촬영도 가능하다. 즉 영상에 들어갈 대본을 종이에 써서 읽는 모습을 촬영해도, 계속 카메라를 바라보며 말하는 것처럼 연출할 수 있다. 웹툰을 제작하는 시간도 생성 AI로 크게 줄었다. 네이버 ‘웹툰 AI 페인터’를 사용하면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상시키는 색감이 돋보이는 벽면에는 과학자들의 명언을 품은 말풍선들이 있었고 영상을 집중해서 볼 수 있는 태블릿과 책상이 마련돼 있었다. 다른 한 편에는 책꽂이가 들어와 천문우주, 물리학, 뇌과학 관련 과학 도서들이 자리할 예정이다. 이런 공간을 100배로 즐길 수 있는 팁이 있을까. 신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어떤 생물을 탐사했을까? 2023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앱을 이용해 자신이 사는 지역에 서식하는 매미, 제비 등 16개 생물종의 사진과 영상, 위치 정보 등을 기록해 왔죠. 이중 120팀이 16개 생물종 가운데 3종 이상을 탐사해 수료증을 받았습니다. 특히 11팀은 16개 생물종을 모두 탐사했어요. 2023년 처음 가입한 대원 중 가장 활발히 활동한 와이파이팀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