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필요가 없다. 뉴럴링크 연구진은 피실험자의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낸 뒤,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뇌를 관찰하며 ‘R1 로봇’을 이용해 N1 임플란트 칩을 이식한다. R1 로봇은 MRI로 파악한 혈관의 위치를 피해서 4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굵기의 뾰족한 바늘로 뇌에 N1 임플란트의 실 ...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과거 데이터에 접속한 선은 우연히 마이클 잭슨을 찾아낸다. 둘이 함께 마이클 잭슨의 영상을 보다가 갑자기 정전이 되고 우나와의 연결도 끊긴다. “우나 쌤?”역시 우나에게서는 아무런 반응도 없었다. 그즈음 도서관 여기저기에 포진해 있던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의 움직임 또한 심상치 않게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들려왔다. 뉴스를 보고서 그들은 한국에는 미래가 없다며 불만들을 쏟아내고 있었다. 영상에서 R&D 예산 삭감 철폐를 외친 한 대학원생이 경호원에 의해 밖으로 끌려 나가고 있었다. 형이 말을 이었다. “그런데 얼마나 대단한 거든, 지금 여기선 네 걸 못 한다니까.” “왜요?” “세상에는 앞뒤라는 ... ...
-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면 운전자는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 책을 읽거나 유튜브 영상을 보는 등 운전 시간을 여가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서울시는 “자율주행 차량이 일상으로 완전히 들어오면 운전자는 운전할 때 다른 일을 할 수 있어 하루 평균 50분, 1년엔 12일의 여유 시간이 생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보여주는 것이 전부일까? 미디어 속 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소수자를 혐오하도록 하는 콘텐츠가 늘고 있지요. 사람은 누구나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영상에 끌릴 수밖에 없어요. 그러다 보면 어느새 미디어가 재생산하는 프레임 속 극단적인 현실을 실제 현실처럼 인식하게 되지요. 우리는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할 줄 아는 역량을 길러 미디어를 ... ...
- [에디터 노트] 도파민도 인스턴트 시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늘리면, 뇌도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아내려 조금씩 변합니다. 내 클릭 하나하나가 유튜브 영상 추천 알고리즘을 바꿔나가듯, 내게 노출된 자극 하나하나가 내 뇌 속의 보상회로를 바꿔나갑니다. 그런 의미에서 3월호 과학동아는 여러분에게 어떤 자극이 될지 궁금합니다. 건강한 도파민이 샘솟는, ... ...
- 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당당하게 도파민 중독이라 아니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대신 롱폼 콘텐츠(15분짜리 영상) 소비와 온라인 쇼핑하는 시간이 늘긴 했지만요(흠흠). 쇼핑 도파민 중독이 되지 않게 조심하기만 하면 돼요! 홍서연 독자위원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싶을 때 줄였던 경험이 있고, 사용 시간을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나씩 보여준다. 과거 유튜브나 넷플릭스에서 영상이 끝날 때 별도의 클릭 없이 다음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했던 자동 재생 기능이 소셜 미디어에서 구현된 것이다. 사용자는 가만히 바라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전보다 콘텐츠를 더 많이 소비하게 된다. 이렇듯 사용자를 편리하게 만든 소셜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세계의 망원경을 함께 사용해 이중 초대질량블랙홀이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의 영상을 얻어, 우주배경 중력파와 우주초기 초대질량블랙홀의 비밀을 푸는 데 필자도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보였다. 3년 뒤 이 사건을 수학적으로 따져 본 사람들이 나타난다. 축구와 관련된 영상을 만드는 ‘슛포러브’다. 슛포러브는 영 선수 입에 똥을 싼 새는 세상에서 가장 높이 나는 새로 알려진 루펠대머리수리라고 가정했다. 상공 11.27km까지 날 수 있고, 루펠대머리수리가 지구에서 최대로 활동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