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903건 검색되었습니다.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지난 해 제임스 앨리슨 교수가 면역계의 면역 반응
조절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로로 수상할 것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도 했다. 올해 쉘처 연구원은 "DNA 염기서열에 관한 연구 성과가 노벨상을 받은 것은 1980년 프레더릭 생어가 마지막"이라며 "이번에는 DNA 분석 관련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없다. 가장 먼저 발표되는 생리의학 분야에서는 뇌세포에 빛 스위치를 달아 활성을
조절
하는 신경과학 기술인 ‘광유전학’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노벨상에서 가장 강세를 보이는 유전학 분야가 광학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한 셈이다.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 ...
사고로 몸 마비된 28세 청년, 뇌파로 작동하는 로봇옷 입고 다시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뇌와 두피 사이에는 두 개의 측정장치를 삽입한다. 이 장치들은 감각과 운동 기능을
조절
하는 뇌의 피질 영역 부근에 위치해 관련 뇌 신호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티보는 실제 외골격로봇을 입고 실험에 나서기 전 비디오 게임을 통해 2년간 걷는 것과 물건을 집는 가상의 연습을 반복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에 '외국어' 능력 주입하는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토드 로버츠 미국 텍사스대 신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스위치를
조절
하는 ‘광유전학’ 기법을 통해 참새목의 새인 금화조에 노래를 배운 기억을 인위적으로 집어넣었다. 이 금화조는 한번도 노래를 하는 다른 개체를 만난 적이 없는데 노래를 부르게 한 것이다. 사실상 새의 ... ...
[2019 노벨상] 대학원생 업적, 정년 이후 연구로도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5
노벨상을 수상했다. 노벨재단에 따르면, 그의 주요 수상 업적인 광학 집게로 박테리아를
조절
한 연구는 그가 65세인 1987년 수행됐고, 수상은 이후 31년 뒤에 이뤄졌다. 노벨상 수상의 극과 극의 사례를 보여주는 '사이언스' 2016년 논문의 연구 결과. 입자물리학자 프랭크 윌첵은 대학원생 시절 연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기억에 빠지면 오히려 슬퍼진다
2019.10.05
일 말고 다른 주제로 생각을 돌리거나 즐거웠던 기억을 끄집어내보는 등 다양한 정서
조절
을 시도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슬픈 일을 겪은 후에는 평소보다도 즐거웠던 기억을 쉽게 떠올리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하지만 우울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이런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는 발견들이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스위치를 켰다 껐다 하는 것처럼 뇌의 특정 부분을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하는 정도를
조절
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오래 전 기억을 되살리는 방법이나 공포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방법 등을 연구하거나 파킨슨병 등 난치성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을 밝히고 치료방법을 찾고 ... ...
일본이 시작은 했지만…"한국産 줄기세포 치료제 속속 출격 준비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고 말했다. 그는 "확률이 0이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과거에 비해 암세포로의 증식을
조절
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됐다"고 설명했다. 야마나카 소장은 "현재 일본을 비롯해 한국 등 여러 국가 전문가들이 iPSc를 이용한 치료제 기술을 개발해 임상시험 중"이라며 "뛰어난 치료 효과만큼 환자에 대한 ... ...
광유전학부터 계량경제학까지…올해 노벨상 유력 후보 19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빛에 반응하는 일종의 ‘스위치’를 뇌세포에 단 뒤 빛을 쪼여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
하는 획기적 신경과학 기술인 ‘광유전학’의 창시자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게로 미셴보크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에른스트 밤베르크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학연구소 명예소장이 이름을 ... ...
"30년간 써온 HIV 치료제 퇴행성 뇌질환 효과. 치료 새 장 열 것"
2019.09.23
모자이크 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유전자 모자이크 현상은 생리 기능
조절
및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천 교수는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운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천 교수에 따르면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구체 단백질에서 다양한 유전적 변이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