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9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로 최적의 3D 프린팅 기술 설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사용하는 대형 3D프린팅 장비를 만들려면 여러 개의 레이저를 사용해야하는데 이를
조절
하는 것이 중소기업의 기술력에선 어렵다”며 “생기원의 레이저 기반 3D 프린팅 전문가들이 링크솔루션을 지원했다”고 말했다. 해당 장비는 출력 서비스를 시작으로 장비 상품성을 높여 상용화를 준비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단백질의 역할을 밝힌 연구 성과. Wnt를 이용하면 줄기세포를 분화시키거나 면역세포를
조절
할 수 있다. 현재 미국 생명과학벤처 새뭄드는 Wnt를 표적으로 하는 탈모치료제를 개발해 임상 3상 중이다. 새뭄드 제공 탈모의 진화 피나스테라이드는 제법 효과적인 약물이지만, 부작용이 없는 것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 댓글에 동조하는 악플의 심리학
2019.12.14
댓글을 익명으로 달거나 아니면 페이스북 계정을 연동해서 달게 하는 식으로 익명성을
조절
했다. 사람들이 얼마나 자신과 비슷한 입장을 보이는 기존 댓글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앞서 달린 댓글들에 공격적인 표현을 많거나 적게 배치했다. 그 결과 우선 댓글의 익명성에 따라 언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현상으로 볼 수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떠올랐다. 페롭토시스가 어떤 기능을 지닌
조절
된 세포사멸이라면 유전이나 환경 등 어떤 이유로 이게 좀 더 쉽게 일어나는 사람은 신경퇴행성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높고 잘 안 일어나는 사람은 암에 걸릴 위험성이 높은 게 아닐까. 그렇다면 치매 환자는 ... ...
소형발사체도 재사용 시대 열렸다…'로켓랩' 재진입 테스트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일렉트론은 로켓이 하강하는 동안의 데이터를 모으는 항법 컴퓨터와 하강 방향을
조절
하는 추력기, 열을 막는 차폐장치 등을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 로켓랩의 시도는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로켓랩은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으나 벡 CEO는 트위터에 “전 구간에서 견고한 원격 ... ...
한국 철마, 북한 거쳐 시베리아까지 달린다…'동북아 공동화차' 첫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감안해 50칸을 이은 긴 열차에도 견딜 수 있도록 몰리브덴과 바나듐, 니켈 금속 비율을
조절
한 재질로 개발했다. 공동화차에는 여기에 긴 열차를 뜻하는 장대편성열차를 멈추는 제동기술도 들어갔다. 열차 대수가 많을수록 무게가 늘어 열차를 멈추는 데 더 많은 힘이 소모되기 때문에 기존 열차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염증이 알츠하이머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교수는 “이번 연구로 타우 단백질의 생성 원인이 밝혀진 만큼 미래 약물은 면역 반응을
조절
함으로써 이를 정확히 다룰 수 있다”며 “타우 단백질이 정신 능력을 감소시키는 게 확실한 만큼 이를 해결할 수 있다면 나은 치료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알파고 잡은 신의 한 수…'은퇴' 이세돌 "꼼수였죠"
연합뉴스
l
2019.11.27
이벤트 대국이 추진되고 있다. 첫판은 두 점을 깔고 두고, 대국 결과에 따라 치수를
조절
한다. 이세돌과 한돌의 실력 차이를 정확히 판단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이세돌은 "두 점을 깔고 두는 첫판은 아마도 내가 질 것 같다"며 "요즘 바둑 뉴스도 제대로 보고 있지 않다. 은퇴까지 했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
2019.11.26
바로 착한 기술 아닐까.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이라도 1000Hz 이상 고음은 수동식 소음
조절
에 의존한다. 노이즈캔슬링이 잘 안되는 고음 영역에서 오히려 차음이 잘 되는 커널형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애플코리아 제공 우리 뇌에 노이즈캔슬링 회로 있다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을 처음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
2019.11.23
정찰 가설, 과일따기 가설, 체온
조절
가설, 이동 가설 등 여러 주장이 경합하고 있다. 쉽게 실험으로 증명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어서 논쟁은 앞으로도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할 것 같다. 어쨌든 인간은 두 발로 걷는 아주 드문 이동 방식을 택했다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