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903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에 열 많은 사람은 살 안 찐다' 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지방산 산화’ 과정을 막는다는 사실도 밝혔다. 평상시 이 과정은 자연스러운
조절
과정이지만, 고지방식 등을 섭취할 경우에는 에너지가 지나치게 축적되는 결과를 낳는다. 그 결과 지방조직이 늘어나며 지방간을 형성하고 대사질환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성제경 교수는 ... ...
3km이상 떨어진 초소형드론, 찰나에 알아채는 국산 레이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레이더는 흔히 생각하는 회전형 레이더와 달리 전자적인 기술로 전파의 방향을
조절
하는 레이더다. 오 선임연구원은 “실제 공역에서 드론이 출몰한다는 사실을 레이더에 알리지 않은 채 100번 이상 시험해 성능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레이더에 사용되는 필터나 송신부, 레이더 함체 ... ...
[표지로 읽는 과학]벌레 신경세포의 연결망 'WWW'
동아사이언스
l
2019.07.06
보임을 밝혔다. 에몬스 교수는 “이 네트워크는 예쁜꼬마선충의 신경이 행동을 어떻게
조절
하는지를 밝히는 출발점 역할을 한다”며 “예쁜꼬마선충의 신경계는 인간 신경계와 같은 분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인간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미세플라스틱의 93%플라스틱 제품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여기에 기타 보강물질을 혼합한 화학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도 있다. 생산이 쉽고 물성
조절
이 쉽지만 생산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미생물이 생산하거나, 여기에 전분 등을 섞어 만든 생분해성 고분자가 있다. 아직은 플라스틱을 100% 대체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친환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현상을 이용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색을 내는 방법을 개발했다”며 “크레이징을
조절
하는 방법은 투명 플라스틱 표면에 잉크 없이도 색을 입히는 것 외에도 전자소자나 센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상이 뒤틀리는 '회오리 빛'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바꿀 수 있음을 실험으로 밝혀낸 것은 처음이다. 연구팀은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
하는 기술에 이 연구 결과를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학현미경이나 양자광학 연구, 입자를 잡아서 회전시키는 일까지 가능한 수준의 광집게, 광통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논문에서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소음 적고 민첩한 닥터드론 한국에선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을 접목해 드론의 위치와 속도를 추적하고 가장 안전하고 충격이 적게 착륙할 수 있도록
조절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닥터드론에도 아직 한계가 있다. 헬기에 비해 기체가 작아 날씨가 나쁜 날엔 비행이 어렵고 먼 거리를 비행하기엔 제한적이다. 전문가들은 태양광으로 자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없어 먹었을 때 쓰지 않고 고소하다. 최근 아몬드 게놈을 분석해 이 효소의 발현량을
조절
하는 전사인자의 돌연변이가 원인임을 밝혔다. 사이언스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 희망 '비타민B6'
동아사이언스
l
2019.06.15
막는 중요한 후보 물질을 발견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제키라 교수는 “이
조절
자를 표적으로 삼아 면역계를 억제하고 감염이 없을 때조차도 자신의 세포를 파괴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신약을 찾을 것”이라며 “자가 면역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는 먼 길을 걷고 있지만 이 ... ...
국내 최초 새 녹내장 수술 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삽입술을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노 교수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안약으로 안압이
조절
되지 않는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결막하 녹내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했다. 눈 흰자(결막)를 1.8mm 정도 절개한 구멍으로 길이가 6mm 정도인 튜브를 넣어 방수가 결막 아래 공간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